“잔소리는 정말 간통보다 결혼생활에 치명적일까?”

구본영 기자
수정 2013-12-01 19:17
입력 2013-12-01 00:00
이미지 확대
잔소리의 사전적 의미는 ‘쓸데없이 자질구레한 말을 늘어놓음’ 또는 ‘필요 이상으로 듣기 싫게 꾸짖거나 참견함’이다. 그리고 최근 국내에서는 이 잔소리가 부부 이혼사유로 자주 언급되고 있는데 지난 2012년에는 아내가 남편의 지나친 잔소리로 퇴행성 뇌질환을 앓게 됐다며 이혼한 사례도 있다.

부부심리 상담전문가인 지나 바인더(Gina Binder)는 미국 허핑턴 포스트에 ‘잔소리가 정말 간통보다 결혼생활에 치명적일까?’라는 제목의 칼럼을 30일 게재했다. 다음은 잔소리가 결혼생활에 어떻게 악영향을 주는 지 3가지 측면에서 분석한 내용이다.

1. 잔소리는 부부간 ‘커뮤니케이션’을 방해한다.

부부가 자동차를 타고 먼 여행을 떠나는 중이라고 가정해보자. 그리고 운전 중인 남편에게 아내가 시시콜콜 간섭한다고 생각해보자. “너무 속도가 빠르다”, “어지럽다”, “기름은 충분 하냐”, “자동차 청소는 언제 했냐? 너무 더럽다” 등 여러 잔소리가 나오면 남편의 머릿속은 점점 짜증으로 가득차고 어느 순간 폭발한다. 아내가 남편에게 토해낸 불만자체가 잘못된 건 아니다. 분명 짚고 넘어갈 수 있는 문제들이다. 다만 방식이 잔소리가 되면 일이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악화되기 쉽다. 서로 이해하며 좋게 언급할 수 있는 문제가 ‘잔소리 화’되면 오히려 역효과가 난다는 것이다. 또 이렇게 상황이 안 좋아지면 교통사고 위험도 함께 커진다.

2. 잔소리는 부부간 ‘연결 고리’를 끊는다.

어느 날, 남편이 아내를 데리고 근사한 레스토랑을 찾았다. 분명 비싼 곳일 테지만 남편은 아내를 기쁘게 해주고 싶어서 모든 것을 감수하기로 마음먹었다. 그런데 갑자기 아내가 “갑자기 왜 이런 곳에 왔냐?”, “전에 누구와 왔었냐?”, “나는 다른 것을 먹고 싶다”, “분위기가 별로다” 등의 잔소리를 시작한다.

남편이 틀린 것도 아내가 잘못 짚은 것도 아니다. 다만 남편은 아내를 기쁘게 해주고 싶었고 아내는 눈에 보이는 문제를 지적했을 뿐이다. 여기서 부부 간 연결고리에 문제가 생긴다. 남편은 아내에 대한 인식이 ‘배우자’에서 ‘투쟁대상’으로 바뀌고 아내는 남편이 ‘한심한 화상’으로 밖에 안 보인다. 따라서 잔소리로 인해 부부사이는 급속히 냉랭해 진다.

3. 잔소리는 부부간 ‘신뢰’를 손상시킨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신뢰며 가장 가까운 사이는 부부관계에서 이것이 중요함은 언급할 필요도 없다. 다만 잔소리가 여기에 미치는 악영향은 무척 크다.

예를 들어 아내가 늦게 들어온 남편에게 “어제 뭐하다 왔어”, “거짓말 그만해”, “당신 말은 믿을 수 없어”와 같이 바가지를 긁는다면 남편은 스스로 “아내가 나를 믿지 못하는 구나” 라고 생각해 부부 간 신뢰가 깨지게 된다. 물론 남편의 행동에 대해서 아내가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정당한 행동이지만 방식이 ‘잔소리’가 되면 안 좋다는 것이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처음 언급한 이혼 사유에서 볼 수 있듯이 남편도 아내를 믿지 못해 지나친 잔소리를 한다면 가정 전반에 치명적 균열을 야기시킬 수 있어 각별히 조심해야 할 것 이다.

사진=허핑턴 포스트 캡처조우상 기자 wsch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