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기자의 콕 찍어주는 그곳] 무량수전 배흘림기둥, 기대다-영주 부석사
수정 2019-08-01 15:46
입력 2019-08-01 15:46

“나는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 사무치는 고마움으로 이 아름다운 뜻을 몇 번이고 자문자답했다.”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 최순우, 1994. 학고재>
배흘림기둥. 영주에 위치한 부석사(浮石寺) 주불전인 무량수전 기둥은 민흘림이 아닌 장독처럼 배부른 배흘림모양이다. 이 배흘림으로 인해 원래도 유명하였던 영주의 부석사는 더 큰 이름이 전국적으로 났다. 제 4대 국립중앙박물관장이자 고미술사학자인 혜곡 선생이 부석사 배흘림기둥에 반하고 만다. 그는 배흘림기둥을 두고 ‘멀찍이서 바라봐도 가까이서 쓰다듬어 봐도 무량수전은 의젓하고도 너그러운 자태이며 근시안적인 신경질이나 거드름이 없다.’라는 평가를 남긴다. 배흘림기둥에 다시금 기대어 서 보자.



사실 부석사에는 무량수전을 비롯하여 안양루, 선묘각, 조사당, 취현암, 범종루, 선열당 등 많은 당우와 전각이 있지만 특히 방문객들의 사랑을 받는 곳은 무량수전과 안양루다. 부석사는 규모가 그리 크지 않지만 한국 건축의 고전(古典)으로 여겨지는 이유는 바로 사찰이 들어선 가람의 위치 때문이다. 누구라도 부석사의 범종각이나 안양루 오르면 눈 아래 펼쳐지는 소백산맥 휘어드는 봉우리들의 풍경에 넋을 놓고 만다. 신라 시대, 그 옛날에 봉황산 중턱 좁고 가파른 땅을 높은 석축과 건물을 잘 이용하여 이렇듯 짜임새 있게 공간 배치를 했다는 사실이 놀랍다.


<한국신발관에 대한 방문 10문답&g
1. 방문 추천 정도는?
- ★★★★ (★ 5개 만점)
- 석양이 질 때 바라보는 무량수전 앞 풍광은 압권이다.
2. 누구와 함께?
- 가족 단위. 혹은 연인 끼리도 좋다. 석양을 노려라.
3. 가는 방법은?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부석사로 345(북지리)
- 영주 버스 터미널에 내리면 20~30분 간격으로 부석사에 가는 버스가 많다.
4. 특징은?
- 불교라는 종교적 의미보다 건축미학적인 의미가 더욱 더 짙은 곳.
5. 명성과 내실 관계는?
- 유명세에 비하면 관람객들은 그리 많지 않다. 관광버스로 오는 중년의 관람객들이 주 방문객.
6. 꼭 봐야할 장소는?
- 무량수전 뒤의 부석(浮石), 무량수전 배흘림기둥, 안양루
7. 토박이들이 추천하는 먹거리는?
- 유명한 먹거리 맛집이 많다. 영주 축협 한우프라자, 한결 청국장, 묵호문어집, 명동감자탕
8. 홈페이지 주소는?
- http://www.pusoksa.org/main
9. 주변에 더 볼거리는?
- 무섬마을, 소수서원, 영주선비촌전통시장, 영주인삼박물관
10. 총평 및 당부사항
- 부석사는 유명한 곳이다. 한 번은 다녀오면 좋다. 부석사 여행의 포인트는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을 배경으로 사진 한 컷, 안양루에서 바라보는 석양 풍경을 또 한 컷.
글·사진 윤경민 여행전문 프리랜서 기자 vieniame2017@gmail.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