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에게 위대한 유산을 남긴 황제의 순애보 [한ZOOM]

수정 2024-04-09 08:00
입력 2024-04-09 08:00
이미지 확대
동로마제국 유스티니아누스 황제는 과거 로마제국의 영토를 되찾는 과정에서 새로 만든 도시와 건물에 사랑하는 아내 테오도라의 이름을 남겼다. 그러나 이탈리아 라벤나(Ravenna)에는 이미 도시가 만들어져 있었기 때문에 테오도라의 이름을 붙이는 대신 성당을 지었다. 이 성당이 바로 ‘산 비탈레 성당’(Basilica di San Vitale)이다.
동로마제국 유스티니아누스 황제는 과거 로마제국의 영토를 되찾는 과정에서 새로 만든 도시와 건물에 사랑하는 아내 테오도라의 이름을 남겼다. 그러나 이탈리아 라벤나(Ravenna)에는 이미 도시가 만들어져 있었기 때문에 테오도라의 이름을 붙이는 대신 성당을 지었다. 이 성당이 바로 ‘산 비탈레 성당’(Basilica di San Vitale)이다.
서양인들에게 있어 ‘로마제국’은 역사적, 문화적 정체성 이상의 의미가 있는 것 같다. 그런 이유 때문에 로마제국이 역사에서 사라진 후에도 ‘신성로마제국’(Holy Roman Empire)과 같은 수많은 나라들은 “우리가 로마제국의 정통성을 이어받았다”고 주장해왔다.

로마제국의 정통성을 이어받았다고 주장한 나라 중에는 러시아도 있었다. 1453년 동로마제국이 오스만제국에 의해 멸망하자 러시아의 이반3세는 “나는 동로마제국의 마지막 황제 콘스탄티누스 11세의 조카 소피아 팔라이올로기나(Sophia Palaiologina) 공주와 결혼했다. 따라서 로마제국의 정통성을 이은 유일한 황제는 나뿐”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무엇보다 아쉬운 것은 따로 있다. 적지 않은 사람들이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한 서로마제국만 로마제국으로 생각한다는 점이다. 동로마제국도 서로마제국과 마찬가지로 로마제국의 역사를 계승한 제국이다. 하지만, 일부 서유럽의 역사가들이 서로마제국의 멸망을 로마제국의 멸망으로 서술하면서, 동로마제국은 유럽대륙을 버리고 떠났다가 이슬람 제국에 의해 멸망한 나라로만 기억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동로마제국은 유럽대륙 변방으로 옮겼다가 이슬람 제국에 의해 멸망한 작고 약한 나라가 아니었다. 그래서 지금부터 가난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다가 동로마제국의 위대한 황제가 된 유스티니아누스 대제(Justinianus I·483~565) 이야기를 들려주고자 한다.
이미지 확대
산 비탈레 대성당에는 두 개의 모자이크화가 있다. 하나는 유스티니아누스 황제를 중심에 두고 병사들과 성직자들을 그린 그림이다. 이 그림은 황금빛 성스러운 분위기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 그림을 본 클림트가 자신의 그림에 황금빛을 적용하기 시작했다고 알려져 있다. 사진: 위키피디아.
산 비탈레 대성당에는 두 개의 모자이크화가 있다. 하나는 유스티니아누스 황제를 중심에 두고 병사들과 성직자들을 그린 그림이다. 이 그림은 황금빛 성스러운 분위기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 그림을 본 클림트가 자신의 그림에 황금빛을 적용하기 시작했다고 알려져 있다. 사진: 위키피디아.
동로마의 위대한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대제’유스티니아누스 황제는 482년 가난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황실경비대 사령관이었던 외삼촌 유스티누스에 의해 동로마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플로 왔으며 나중에는 외삼촌의 양자가 되었다.

518년 동로마제국 황제가 세상을 떠났다. 황제의 후사가 없는 혼란한 틈을 타서 유스티누스가 황제의 자리에 올랐다. 유스티니아누스는 황제의 자리에 오른 외삼촌 유스티누스가 올바른 정치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고, 원로원의 신임까지 얻었다. 시간이 흘러 527년 유스티누스도 세상을 떠났고 유스티니아누스가 뒤를 이어 동로마제국의 황제가 되었다.

유스티니아누스 황제의 재위기간(527~565)은 동로마제국은 전성기였다. 유스티니아누스 황제는 사산왕조페르시아의 침입을 막아 제국을 안정시켰고, 서로마제국이 멸망한 후 게르만족이 가져간 아프리카와 이탈리아 영토의 상당부분을 되찾았다. 그리고 537년에는 소실된 ‘성 소피아 대성당’을 재건했다.

이러한 업적으로 인해 유스티니아누스는 로마제국의 위대한 황제로 평가받고 있으며, 동방정교회로부터 대제(大帝)라는 칭호를 받아 ‘유스티니아누스 대제’로 기록되어 있다.
이미지 확대
산 비탈레 성당에 있는 유스티니아누스 모자이크화 반대편에는 테오도라 황후의 모자이크화가 있다. 이 그림은 테오도라 황후를 성녀처럼 표현하고 있으며, 이 그림 역시 클림트의 황금빛 작품에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진: 위키피디아.
산 비탈레 성당에 있는 유스티니아누스 모자이크화 반대편에는 테오도라 황후의 모자이크화가 있다. 이 그림은 테오도라 황후를 성녀처럼 표현하고 있으며, 이 그림 역시 클림트의 황금빛 작품에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진: 위키피디아.
유스티니아누스 황제가 사랑한 여인 ‘테오도라’522년 동로마제국의 황태자였던 유스티니아누스는 테오도라(Theodora)를 만나 한 눈에 사랑에 빠졌다. 그리고 얼마 후 공식적으로 그녀와의 결혼을 발표했다.

황태자의 결혼발표는 로마사회 전체를 충격에 빠뜨렸다. 테오도라는 당시 가장 천한 신분으로 여겨졌던 서커스 극단의 여배우였기 때문이었다. 지금이라면 황태자와 여배우의 ‘세기의 결혼’ 또는 ‘세기의 로맨스’로 세간의 관심을 받았을 것이다. 하지만 당시 관습법은 고위 관료와 천한 여배우의 결혼을 인정하지 않았다.

테오도라를 놓치고 싶지 않았던 황태자 유스티니아누스는 법을 개정해서 테오도라와 결혼했다. 그리고 2년 후에는 황제의 자리에 올랐고, 테오도라는 황후의 자리에 올랐다.

테오도라에 대해서는 많은 이야기가 전해지지 않는다. 아마도 천한 신분의 여배우를 황후로 인정하고 싶지 않은 사람들은 기록을 남기고 싶지 않았을 것이다. 일부 사람들은 테오도라 황후를 마녀처럼 묘사한 기록을 남기기도 했다.

그러나 테오도라 황후는 유스티니아누스 황제와 함께 동로마제국의 번영을 이끌었던 위대한 리더였다. 반란으로 황제의 자리가 위태로웠을 때에도, 페스트에 걸린 황제가 죽음의 문턱을 넘고 있었을 때에도 테오도라는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해 황제와 황실을 지켜냈다. 신분이 달라도 결혼할 수 있는 제도를 만들고, 여성의 지참금을 강요하는 악습을 폐지했으며, 여성을 성적으로 착취하는 행위를 엄격히 단죄하는 법을 만들었다.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재단을 만들어 구호활동에도 앞장섰다. 시간이 흐를수록 사람들은 그녀의 진심을 알아갔고, 어느덧 황후는 성녀(聖女)로 인정받기 시작했다.

테오도라는 51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사랑하는 황후를 잃은 황제는 발이 닿는 모든 곳마다 황후를 기억했고, 황후가 생전에 실천한 모든 것들을 이어가기 위해 노력했다. 황제는 언제나 테오도라의 이름을 걸고 맹세했고, 적과의 전쟁에서 승리했을 때에도 테오도라의 무덤을 먼저 찾아 그녀에게 승리의 기쁨을 들려주었다. 그리고 황후가 떠난 지 17년이 지난 어느 날 81세의 유스티니아누스 황제는 그리워하던 황후의 곁으로 떠났다.
이미지 확대
555년 유스티니아누스 대제가 만든 동로마제국의 최대 영토이다. 유스티니아누스 대제는 로마제국 영토의 상당부분을 회복했다. 사진: 위키피디아.
555년 유스티니아누스 대제가 만든 동로마제국의 최대 영토이다. 유스티니아누스 대제는 로마제국 영토의 상당부분을 회복했다. 사진: 위키피디아.
로마에 가면 로마법을 따르라유스티니아누스 황제의 최대 업적은 ‘로마법 대전’의 편찬이다. 로마제국의 모든 법률, 판례, 칙령 등을 집대성하여 체계적으로 구성한 로마법 대전은 이후 대륙법으로 전승되었고 독일과 일본을 거쳐 우리나라 법률에도 영향을 주었다.

독일의 법학자 ‘루돌프 폰 예링’(Rudolf von Jhering·1818~1892)은 그의 저서 ‘로마법 정신’을 통해 로마는 세 번에 걸쳐 세계를 지배했다고 설명했다. 첫 번째는 무력을 통한 유럽대륙을 통일이고, 두 번째는 밀라노 칙령을 통해 기독교를 공인하면서 종교적 통일을 이룬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리고 마지막 세 번째는 서양법률의 근간이 되는 로마법을 완성해 인류의 행동기준과 정신을 통일한 것이라고 설명하면서, 로마법 대전을 로마제국이 인류에게 남긴 가장 위대한 업적이라고 평가했다.

동로마제국의 위대한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대제의 업적과 순애보를 정리하며, 동로마제국은 결코 작고 약한 유럽대륙 변방의 나라가 아니었으며, 인류에게 위대한 유산을 남긴 위대한 제국이었음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자 한다.

한정구 칼럼니스트 deeppocket@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