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전보다 작네…빛나는 ‘형광 전갈’ 생후 11주 새끼들의 자태

권윤희 기자
수정 2021-06-13 12:04
입력 2021-06-13 10:15
이미지 확대
호주 시드니야생동물원이 생후 11주 된 새끼 전갈들을 선보였다. 11일 호주ABC뉴스는 시드니야생동물원에서 태어난 새끼 전갈 12마리가 대중에 공개됐다고 보도했다.
호주 시드니야생동물원이 생후 11주 된 새끼 전갈들을 선보였다. 11일 호주ABC뉴스는 시드니야생동물원에서 태어난 새끼 전갈 12마리가 대중에 공개됐다고 보도했다.
호주 시드니야생동물원이 생후 11주 된 새끼 전갈들을 선보였다. 11일 호주ABC뉴스는 시드니야생동물원에서 태어난 새끼 전갈 12마리가 대중에 공개됐다고 보도했다.

동물원 사육사 애슐리 웜비는 “길이 8㎜로, 동전보다 작은 새끼 전갈들 모두 건강하다. 어둠 속에서 빛을 내는 것도 정상적”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어둠 속에서 자외선을 받은 새끼 전갈들은 환한 초록빛을 뿜어내며 시선을 사로잡았다.

사육사는 “전갈의 투명한 껍데기층(히아린층)에 녹색 형광 단백질이 포함돼 있어, 자외선에 노출되면 청록색을 띤다”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이런 형광 현상이 관찰되는 이유에 대한 과학자 의견은 분분하다. 야행성인 전갈이 먹이를 유인하기 쉽도록 진화한 결과라는 의견과 동족을 식별하고 짝을 찾기 위함이라는 가설이 존재한다. 형광 단백질이 일종의 자외선 차단제로 작용해 전갈을 보호한다는 주장도 있다.
이런 형광 현상이 관찰되는 이유에 대한 과학자 의견은 분분하다. 야행성인 전갈이 먹이를 유인하기 쉽도록 진화한 결과라는 의견과 동족을 식별하고 짝을 찾기 위함이라는 가설이 존재한다. 형광 단백질이 일종의 자외선 차단제로 작용해 전갈을 보호한다는 주장도 있다.
이런 형광 현상이 관찰되는 이유에 대한 과학자 의견은 분분하다. 야행성인 전갈이 먹이를 유인하기 쉽도록 진화한 결과라는 의견과 동족을 식별하고 짝을 찾기 위함이라는 가설이 존재한다. 형광 단백질이 일종의 자외선 차단제로 작용해 전갈을 보호한다는 주장도 있다.

현재 지구상에 서식하는 전갈은 약 1100종에 이른다. 거미강 중에서는 기원이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생대 실루리아기(약 4억4370만년 전~4억1600만년 전) 때의 화석도 존재한다.

대부분 독을 지니고 있으나, 사람에게 해를 끼칠 만한 독을 지닌 전갈은 20여 종에 불과하다. 사육사 애슐리 웜비는 전갈이 독을 품고 있긴 하지만 해충을 잡고 곤충 개체 수를 유지하는데 일조하는 생태계의 중요 동물이라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동물원 사육사 애슐리 웜비는 “길이 8㎜로, 동전보다 작은 새끼 전갈들 모두 건강하다. 어둠 속에서 빛을 내는 것도 정상적”이라고 밝혔다.
동물원 사육사 애슐리 웜비는 “길이 8㎜로, 동전보다 작은 새끼 전갈들 모두 건강하다. 어둠 속에서 빛을 내는 것도 정상적”이라고 밝혔다.
교미 후 수컷을 잡아먹은 암컷은 5~9개월, 길게는 사람처럼 10개월의 임신 기간을 가진다. 수정란이 모체 안에서 부화하여 나오는 난태생(ovoviviparous)이며, 태어난 새끼들은 곧장 어미 등에 올라가 살다 2주 후쯤 유체가 되어 내려온다. 성체가 되면 뿔뿔이 흩어지는데 만약 제대로 자리를 잡지 못하면 형제에게도 잡아 먹힐 수 있다.

한편 전갈은 태국과 미얀마, 중국 등 아시아권에서 예부터 음식재료나 약재로 사용됐다. 인도에는 전갈에게 쏘였을 때 그 전갈을 잡아먹으면 낫는다는 미신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