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타리카 공항에 살림 차린 쿠바 남자
박종익 기자
수정 2009-01-14 09:31
입력 2009-01-14 00:00

최근 일본 남자가 멕시코 공항에서 장기간 숙식해 화제가 된 가운데 이번엔 코스타리카 국제공항에 ‘살림’을 차린 남자가 등장했다. 코스타리카 이민당국은 강제송환도 못하고 입국도 허용할 수 없는 처지라며 깊은 한숨만 내쉬고 있다.
화제의 주인공은 40세의 쿠바 출신 전기공 호세 앙헬 로케 페레스(사진). 자칭 쿠바 난민이라는 그는 지난해 12월 4일 코스타리카 국제공항에 내려 40여 일째 공항에서 숙식하고 있다.
구석에 의자 6개를 모아 침대 대용으로 쓰면서 하루 3끼를 공항·항공회사 직원들이 갖다주는 기내식으로 해결하고 있다.
’공항 하숙생활’을 시작한 지 1개월이 넘은 그는 지난 8일에야 비행기에서 내린 후 처음으로 샤워를 했을 정도로 지저분한 생활을 하고 있지만 이젠 공항에 친구도 여럿이다. 사진 속 그가 들어 보이는 건 친구들이 준 선물이다.
공항생활을 하게 된 사연은 꽤나 복잡하다. 그는 민주화운동을 한 혐의로 ‘반체제 인사’로 낙인 찍혀 정치적 탄압을 받다가 탈출을 결심, 엘살바도르 위조여권을 구해 에콰도르행 비행기에 올랐다. 하지만 경유지 코스타리카에서 경유입국 심사를 받다가 독특한 스페인어 억양 때문에 ‘가짜’인 게 들통났다.
코스타리카 당국은 바로 그를 쿠바로 송환하려 했지만 재빨리 난민신청을 했다. 이후 신청이 접수되면서 판결이 나기까지 그를 강제송환해선 안 된다는 코스타리카 대법원의 명령이 떨어졌다.
속이 타게 된 건 코스타리카 이민당국. 위조여권을 가진 사람을 바로 강제 송환시키도록 한 출입국 관리법도 따를 수 없지만 사증(비자)이 없는 사람에게 입국을 허용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공항에 눌러 앉은 그를 쳐다만 보게됐다. 관계자는 “엄밀히 말하면 입국을 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그가 있을 수 있는 곳은 공항 뿐”이라고 설명했다.
이민당국 관계자는 “그가 원한다면 당장이라도 떠나면 되겠지만 공항에 눌러 앉아 있겠다면 쫓아낼 수 없는 상황”이라며 “하루종일 대기실은 물론 공항 전체를 돌아다니고 있지만 막을 수도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사진=나시온
서울신문 나우뉴스 남미통신원 임석훈 juanlimmx@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