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대의 살인마 ‘잭 더 리퍼’ 생김새 보니…
송혜민 기자
수정 2012-11-15 18:03
입력 2011-09-01 00:00
당시 잔혹한 사건의 용의자 물망에 오른 인물만 해도 200여 명. 그러나 ‘리퍼 전문가’인 형사 트레버 메리어트는 독일 출신 상인인 카를 파이겐바움을 잭 더 리퍼로 지명했다.
파이겐바움은 미국 뉴욕 맨해튼에서 자신의 집 여주인을 살해한 혐의로 체포된 뒤 1894년 처형됐다.
당시 그의 변호를 맡은 윌리엄 러튼 역시 그를 ‘잭 더 리퍼’라고 의심했다. 이유는 그가 러튼에게 “주기적으로 살인을 하고 여성의 신체를 잘라내는 병에 걸렸다.”고 고백했기 때문이다.
또 일부에서는 잭 더 리퍼가 여성의 장기를 적출한 것을 미루어, 그가 외과적 지식이 있을 것으로 판단했지만, 메리어트 형사는 이 또한 사실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파이겐바움이 ‘잭 더 리퍼’라는 결정적인 근거는 사건 지역 인근에 정박했던 독일 상선 ‘라이너’의 승선자 명단에서 파이겐바움의 이름이 나왔다는 것이다.
당시 메리어트 형사는 용의자가 살인을 저지른 뒤 빠르게 배로 도피했기 때문에 수사망을 피할 수 있었으며, 이 같은 정황으로 볼 때 라이너에 승선했던 파이겐바움이 ‘잭 더 리퍼’가 확실하다고 결론내렸다.
현재까지 남아있는 파이겐바움, 즉 ‘잭 더 리퍼’의 사진은 없지만 이번에 BBC 채널을 통해 공개된 몽타주는 그가 교도소에 수감되던 당시에 기록된 외모를 바탕으로 메리어트가 재구성 한 것이다.
희끗한 머리와 크지 않은 눈, 굳게 다문 입술은 강인한 살인마 보다는 평범한 어부를 연상케 한다.
100년이 넘는 세월동안 ‘희대의 살인마’로 불리며 악명을 떨친 ‘잭 더 리퍼’가 생전 총 몇 명을 살해했는지는 여전히 의문으로 남아있다고 BBC는 보도했다.
송혜민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