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하는 만큼 내세요’ 손님에게 커피 가격 맡긴 美카페

수정 2018-01-29 14:10
입력 2018-01-29 14:10
이미지 확대
메트로 카페에서는 원하는 음료를 주문하고 자신이 가진 만큼만 돈을 내면 된다. 많아도 그만 적어도 그만이다.
메트로 카페에서는 원하는 음료를 주문하고 자신이 가진 만큼만 돈을 내면 된다. 많아도 그만 적어도 그만이다.


커피 가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고, 고객이 직접 정하게 한 카페가 화제다. 이곳에서는 커피 한 잔에 1달러를 내는 고객이 있는가 하면 10만원 이상을 지불하는 고객도 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28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산타 모니카 근처에서 ‘자발적 지불’(PWYW, Pay What You Want)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는 한 카페를 소개했다.

이 카페는 겉보기에는 일반 커피숍과 다르지 않다. 그러나 메뉴판을 유심히 살펴보면 음료에 상응하는 소비자 가격을 찾을 수 없다. 고객은 원하는 메뉴를 주문하고 내고 싶은 만큼만 내면 그만이다. 카페는 아메리카노 한잔에 104달러(약 11만 6000원)를 지불하는 고객이든 1달러(약 1100원)를 내는 노숙자든 누구나 환영한다.

운영한지 2년 된 이 카페는 지난해 10월 가격표시제를 과감히 버렸다. 이는 부유한 고객들이 가난한 사람 혹은 노숙자를 위해 평소보다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할 의사가 있는지 30일 동안 확인해보기 위한 실험에서 시작됐다.
이미지 확대
카페 바리스타 도니 폭스(21)는 “이기적인 손님들이 많을 거라 예상했지만 생각보다 극소수였다”고 전했다.
카페 바리스타 도니 폭스(21)는 “이기적인 손님들이 많을 거라 예상했지만 생각보다 극소수였다”고 전했다.


카페 주인 스티브 스눅(58)은 “30일 간의 자체 실험 후에도 고객들은 원하는 가격을 지불했다. 그래서 우리는 이 방식을 고수했고, 수익도 한달에 1만 2500달러(약 1331만원)정도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며 “지역 사회와 협력에 관해 좋은 사업을 하고 싶었다”는 의도를 밝혔다.

이어 “우리의 의도를 이기적으로 이용하는 사람도 있었지만 예상했던 것 만큼 많지는 않았다. 그러나 어떤 고객이든 존경하는 마음으로 최선을 다한다”고 덧붙였다.
이미지 확대
카페 주인 스티브 눅스처럼, 고객에게 상품 가격을 맡기는 회사들이 전세게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카페 주인 스티브 눅스처럼, 고객에게 상품 가격을 맡기는 회사들이 전세게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곳의 단골 고객 론 커티(42)는 “가격의 부재가 처음엔 당혹스러웠다. 예전에 4달러(약 4200원)에 팁 1달러(약 1100원)를 지불하다가 현재는 상황에 따라 2달러(약 2100원)를 지불하기도 20달러(2만 1300원)를 내기도 한다”며 “오히려 바가지를 쓰는 기분이 들지 않아 좋다. 지역 사회에도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현지 언론은 “극단적 계층 불평등으로 로스앤젤레스에서만 노숙자가 현재 5만 8000명에 달한다. 이 카페의 운영방식은 이러한 위기 사회에 작은 울림을 준다”며 “‘능력있는 사람으로부터,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를 외쳤던 칼 마르크스의 주장이 마침내 자본주의에 균열을 일으켰다”고 설명했다.

사진=가디언

안정은 기자 netiner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