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 세계서 가장 추운 마을…공중에서 얼어붙은 물줄기
권윤희 기자
수정 2020-01-29 14:24
입력 2020-01-29 14:15

최근 이들 지역 기온이 영하 70℃까지 내려갔다는 ‘가짜뉴스’가 보도되는 소동이 일면서, 유명 블로거와 사진작가들이 팀을 꾸려 두 마을로 추위 체험에 나섰다. 시베리아타임스는 28일(현지시간) 이들의 여정을 통해 본 베르호얀스크와 오이먀콘 주민의 삶을 소개했다.


공중으로 흩뿌린 물도 줄기 그대로 눈이 되어 우수수 떨어진다. 이탈리아 출신 로렌조 바로네라는 속눈썹에 서리를 단 채 “영하 41℃에서는 소변도 공기 중에서 얼어붙는다”라며 웃어 보였다.
얼음낚시에서 잡은 물고기는 물 밖으로 끌어올리자마자 동사해버린다. 잡힌 생선들은 별도의 얼음 없이 그대로 좌판에 진열된다. 눈밭에서 끓인 라면 면발이 과자처럼 ‘사각사각’ 소리를 내며 씹히는 모습은 특히 인상적이다.



1926년 1월 26일 오이먀콘 마을의 기온은 영하 71.2℃였다. 1933년 2월에는 영하 67.7℃ 수준의 기온을 보였다. 베르호얀스크 역시 1892년 겨울 평균기온이 영하 67.8℃를 기록했다. 최근보다 최소 10℃에서 최대 20℃가량 낮은 기온이다.


시베리아타임스는 따뜻해진 날씨 속에 얼음 목욕을 즐기는 주민의 모습을 더 자주 목격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영하 70℃’설은 가짜뉴스로 밝혀졌고, 주민들은 예년보다 따뜻한 겨울을 나고 있지만 두 지역은 여전히 세계에서 가장 추운 곳이라고 덧붙였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