젤렌스키, 댐 폭발에 “영토 수복 영향 無…러 배상금만 늘 뿐”
윤태희 기자
수정 2023-06-07 11:15
입력 2023-06-07 11:15

우크라이나 매체 우크라인스카 프라우다 등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야간 연설에서 “러시아 테러리스트들이 일으킨 카호우카 수력발전소 재난은 우크라이나와 우크라이나인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며 “우리는 여전히 우리 땅 전체를 해방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카호우카댐 폭발로 우크라이나의 대반격 계획 일부가 복잡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 가운데 젤렌스키 대통령이 러시아의 의도와 관계 없이 영토 수복을 위한 공세를 이어 나가겠다는 의지를 천명한 것이다.
이날 우크라이나 내 러시아 점령지인 남부 헤르손 지역 노바 카호우카에 있는 카호우카 댐이 일부 파괴되면서 급류가 하류로 쏟아져 내렸다.

우크라이나의 빅토리야 리트비노바 검찰부총장은 현지 TV에 홍수로 대피해야 하는 주민이 드니프로강 서쪽의 우크라이나 통제 지역 1만 7000명과 러시아 통제 지역 2만 5000명 등 모두 4만 명이 넘는다고 말했다.
또 홍수로 인한 수위 상승으로 주민들이 지뢰에 노출될 위험이 있다는 경고도 나오고 있다.
●美 정보당국, 댐 폭발 배후로 러시아 지목…전문가들 “댐 안에서 폭파”현재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댐 파괴의 주범으로 서로를 지목하고 있다.
이 가운데 미국 NBC 뉴스는 미 정보당국이 카호우카 댐 폭발의 배후로 러시아를 지목했다고 이날 보도했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도 공학 및 군수 전문가를 인용해 “댐 내부의 고의적인 폭발이 댐 붕괴를 야기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카호우카 댐은?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즉각적인 위험은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다만 댐 상류의 수위가 내려가면서 원자로를 식힐 냉각수가 부족해질 위험은 여전히 남아 있다.
댐 파괴로 인한 홍수로 민간인 피해까지 나온다면 파괴를 주도한 세력은 전범이 될 수 있다. 제네바협약은 고의적인 댐 폭파를 전쟁범죄로 규정하고 있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