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은 곧 죽는다. 이건 팩트”…끊이지 않는 ‘예언’, 증거도 있다? [핫이슈]

송현서 기자
송현서 기자
수정 2025-03-28 16:36
입력 2025-03-28 16:12
이미지 확대
2023년 4월 16일, 정교회 부활절 예배에 참석한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목에서 상처로 추정되는 흔적이 포착됐다(왼쪽), 전화 통화를 하는 푸틴 대통령의 손등에 주사 자국으로 추정되는 흔적을 담은 사진(오른쪽). AFP 연합뉴스
2023년 4월 16일, 정교회 부활절 예배에 참석한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목에서 상처로 추정되는 흔적이 포착됐다(왼쪽), 전화 통화를 하는 푸틴 대통령의 손등에 주사 자국으로 추정되는 흔적을 담은 사진(오른쪽). AFP 연합뉴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죽음을 ‘예언’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지난 26일(현지시간) 프랑스 매체인 유로비전 뉴스와 인터뷰에서 “푸틴의 건강은 악화하고 있다. 그는 곧 죽을 것”이라면서 “이것은 사실(a fact)이고, 모든 것이 끝날 것”이라고 주장했다.이어 “푸틴은 죽을 때까지 권좌에 앉아있기를 바란다”면서 “푸틴이 현재의 전 세계적인 고립 상태에서 빠져나오려는 것을 미국이 돕지 않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젤렌스키 대통령의 ‘예언’은 푸틴의 건강 이상설을 바탕으로 나왔지만, 구체적인 증거는 공개되지 않았다.

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전쟁이 시작된 뒤 푸틴 대통령의 건강 이상설은 끊이지 않았다. 파킨슨병, 갑상샘암, 심장 이상 등 다양한 병명과 증상에 대한 추측이 쏟아졌으나, 이를 뒷받침할 증거가 드러난 적은 없다.

이미지 확대
2022년 4월 21일(현지시간) 푸틴 대통령이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부 장관과 만난 자리에서도 탁자를 불편하게 붙잡고 있는 모습이 포착됐다. 안톤 게라셴코 우크라이나 내무 장관 보좌관 텔레그램 캡처
2022년 4월 21일(현지시간) 푸틴 대통령이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부 장관과 만난 자리에서도 탁자를 불편하게 붙잡고 있는 모습이 포착됐다. 안톤 게라셴코 우크라이나 내무 장관 보좌관 텔레그램 캡처


우크라이나와 일부 서방 국가는 건강에 문제가 생긴 푸틴 대통령이 한밤중에 정신을 잃고 쓰러졌다거나 긴급 수술을 받았다고 주장했었다.

2022년에는 푸틴 대통령이 계단에서 넘어졌고 배설물이 옷 밖으로 흘렀다는 소문이 나기도 했다. 당시 일부 서방 언론은 “푸틴 대통령이 위와 장에 영향을 미치는 암에 걸렸으며, 계단에서 넘어지면서 질병 때문에 ‘의도치 않게’ 배변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전했다.

이 밖에도 연설을 위해 연단에 선 푸틴 대통령이 다리를 불안하게 떨거나 절뚝거리는 모습, 목에 선명한 흉터 등을 토대로 한 건강 이상설이 불거졌었다.

이미지 확대
2022년 5월 23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과 소치에서 정상회담을 가졌다. 당시 푸틴이 발목을 불편하게 돌리는 모습이 카메라에 포착됐다. 영국 데일리메일 영상 캡처
2022년 5월 23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과 소치에서 정상회담을 가졌다. 당시 푸틴이 발목을 불편하게 돌리는 모습이 카메라에 포착됐다. 영국 데일리메일 영상 캡처


최근에도 공개 석상에 등장한 푸틴 대통령에게서 ‘이상 징후’가 포착됐다는 주장이 나왔다.

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은 27일 “올해 초 푸틴의 눈은 빨갛게 충혈돼 있고, 손에는 의문의 멍이 있는 모습이 담긴 사진이 공개됐다. 이에 그의 건강이 악화하고 있다는 추측이 제기됐다”고 보도했다.

이어 “푸틴 대통령은 건강이 좋지 않다는 의혹 외에도, 젊어 보이기 위해 반복적으로 보톡스 시술을 받는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 이 때문에 피부에 불편함을 느껴 얼굴을 긁는 모습이 포착됐다”고 덧붙였다.

건강 이상설이 제기될 때마다 크렘린궁(러시아 대통령실)은 터무니없는 주장이라고 일축해 왔다.

지난해 10월에는 윌리엄 번스 당시 미 중앙정보국(CIA) 국장이 폭스뉴스에 “푸틴은 매우 건강하다. 건강 이상설과는 반대로, 우리는 푸틴이 곧 죽을 것이라고 결론 내릴 어떤 증거도 가지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송현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