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으로 초토화됐는데…미얀마 군부, 이 와중에 반군 공습 논란 [핫이슈]

박종익 기자
박종익 기자
수정 2025-03-31 16:47
입력 2025-03-31 16:47
이미지 확대
30일 미얀마 만달레이의 구조대원들이 강진으로 무너진 잔해에서 사고 수습 작업을 하고있다. AP 연합뉴스
30일 미얀마 만달레이의 구조대원들이 강진으로 무너진 잔해에서 사고 수습 작업을 하고있다. AP 연합뉴스


미얀마 중부를 덮친 규모 7.7의 강진으로 사상자가 속출하고 있는 상황에서도 미얀마 군사정권은 반군에 대한 공습을 이어갔다. 31일(현지시간) 영국 텔레그래프 등 외신은 강진으로 수천 명이 사망하는 등 피해 수습에 여념이 없는 상황에서 미얀마 군부가 반군 세력에 공습을 가해 비난이 일고 있다고 보도했다.

앞서 지난 28일 오후 12시 50분경 미얀마 중부 만달레이에서 서남서쪽으로 33㎞ 떨어진 지역에 규모 7.7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 여파로 30일 기준 2028명이 사망하고 3408명이 다쳤으나 사실상 집계가 불가능할 정도로 인명, 물적 피해는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

이미지 확대
31일 미얀마 만달레이의 구조대원들이 지진 사고 수습 작업을 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31일 미얀마 만달레이의 구조대원들이 지진 사고 수습 작업을 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그러나 이런 최악의 상황에서도 재해 수습에 앞장서야 할 미얀마 군사정권은 반군 폭격을 멈추지 않았다. AP통신에 따르면 지난 28일 지진 이후에도 미얀마 군사정권은 총 3차례 공습을 벌였다. 특히 BBC는 지진이 발생한 지 채 3시간도 되지 않아 미얀마 군사정권이 북부 샨주에 공습을 벌여 7명이 사망했다고 보도했다. 유엔의 미얀마 특별보고관 톰 앤드류스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지진 발생 후에도 군대가 전투를 중단하지 않은 것은 믿을 수 없는 일로 모든 군사 작전을 중단해야 한다”면서 “군부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모든 사람들이 압박을 강화해 이 같은 행동이 결코 용납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이미지 확대
만달레이 시내 수많은 가옥은 지진이 강타한 후 폭탄을 맞은 듯 파괴됐다. 맥사 테크놀러지
만달레이 시내 수많은 가옥은 지진이 강타한 후 폭탄을 맞은 듯 파괴됐다. 맥사 테크놀러지
특히 미얀마 군부가 반군에 대해 공격만 하고 지진 피해 지역의 구호와 구조, 복구에 거의 나서지 않고 있다는 점도 논란이다. 싱크탱크 국제위기그룹의 미얀마 담당 선임고문 리처드 호시는 “소방대·구급대·지역사회 조직이 피해 지역에 투입됐지만, 통상 지원을 위해 동원되는 군대는 어디에도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여기에 미얀마 군부가 외부의 지원을 막을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텔레그래프는 “미얀마 군부가 반군이 점유한 지역에 약품과 백신 공급을 차단했다”면서 “국제단체는 지원이 공평하게 전달되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전했다.

박종익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