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北에 샤헤드 자폭드론 생산 기술 제공” 우크라 정보총국

윤태희 기자
수정 2025-06-10 11:19
입력 2025-06-10 11:11

러시아가 북한에 ‘샤헤드’ 장거리 자폭 드론의 생산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미국 군사 전문 매체 워존은 9일(현지시간) 키릴로 부다노우 우크라이나 정보총국장이 단독 인터뷰를 통해 우크라이나 전쟁 상황부터 여러 군사 작전에 대한 견해를 밝히면서 이렇게 말했다고 보도했다.
부다노우 국장은 워존에 2022년 2월 전쟁이 발생한 이래로 자국에 가장 심각한 장거리 공중 위협으로 자리 잡아온 샤헤드 계열 드론의 생산 능력이 북한에 넘어갔다고 주장했다.
샤헤드 드론은 원래 이란산이지만 러시아는 이를 ‘게란’이란 이름으로 국산화시켜 현재 매달 2000기를 생산하고 이를 5000기까지 늘릴 계획이다. 러시아 당국은 또 이 드론의 사거리와 폭발물 적재량, 무선 신호 연결성, 공격 패턴을 지속해서 개선하고 있다고 알려졌다.

실제로 러시아는 8~9일 밤사이 우크라이나 전역에 미사일 20발 외에도 샤헤드를 포함한 드론 479대로 공격했다고 우크라이나 공군은 밝힌 바 있다.
워존은 “북한이 샤헤드를 보유하면 남한 어느 곳이든, 그리고 잠재적으로 엄청난 규모로 목표물을 타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 이는 남한의 방공망을 무력화시켜 다른 무기의 공격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이는 또 우크라이나 전쟁 지원을 위해 러시아로 다시 수출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부다노우 국장은 러시아가 북한에 이런 드론뿐 아니라 자국의 이스칸데르 미사일을 본뜬 KN-23 단거리 탄도 미사일의 정확도 향상에 도움 되는 기술과 지식을 어떻게 제공하고 있는지도 설명했다.
북한은 러시아에 화성-11호로도 알려진 KN-23 미사일을 배치하고 있으나 첫 번째 공급분은 그중 약 절반이 궤도에서 벗어날 뿐 아니라 공중에서 폭발했었다고 우크라이나 검찰은 보고서에 밝혔다.
그러나 이 미사일은 그 후 러시아의 기술 지원 덕에 극적으로 개선됐으며 이제는 치명적인 정확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부다노우 국장은 지적했다. 이로써 러시아는 그간 절실히 필요로 하던 단거리 탄도미사일 공급원을 확보했다는 것이다.
워존은 “부다노우 국장이 구체적으로 어떤 사항이 KN-23 미사일에 적용됐는지 밝히지 않았다”고 전하면서도 만일 이런 기술이 다른 여러 탄도미사일에 적용돼 성능 향상으로 이어진다면 한반도 너머로 위협이 확산할 가능성이 있다고 짚었다.
윤태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