힌남노 ‘눈벽 교체’ 완료 ‘초강력’ 진화…우주서 본 슈퍼태풍 [포착]
권윤희 기자
수정 2022-09-01 16:59
입력 2022-09-01 16:55
30일 ‘초강력’ 슈퍼태풍으로 발달했던 힌남노는 눈벽대체순환(ERC, Eyewall Replacement Cycle) 과정에서 세력이 일시 약화됐다. 눈벽대체순환은 태풍의 눈 주변에서 소용돌이치는 두꺼운 구름층인 ‘눈벽’이 뒤엉키는 걸 말한다. 바깥쪽 눈벽이 태풍의 눈을 가장 가까이에서 둘러싼 안쪽 눈벽을 대체하는 자연적 현상이다.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에 따르면 1일 오전 9시(UTC, 협정세계시 기준) 현재 대만 타이베이 동남동쪽 약 510㎞ 해상까지 이동한 상태다. 중심기압은 920h㎩, 최대풍속은 초속 54m(시속 194㎞)로 여전히 최고등급인 ‘초강력’ 강도를 유지 중이다.
전문가들은 현재는 필리핀해에서 새로 형성된 열대성저기압 ‘가르도’와 힌남노가 만나 후지와라 효과를 통해 몸집을 더 불릴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한다.
후지와라 효과는 두 개의 태풍이 인접한 곳에 위치할 경우 서로의 이동 경로나 세력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일컫는다. 미국 예일환경학교 산하 기후대응모임(YCC)은 힌남노가 1일과 2일 사이 가르도를 완전히 흡수할 것으로 예상했다.
힌남노는 ‘매우강’ 상태를 유지하며 5일 오전 9시 우리나라 제주 서귀포시 남남서쪽 470㎞ 해상을 지나 6일 오전 9시 서귀포 동북동쪽 180㎞ 해상에 이를 전망이다. 서귀포시 동북동쪽 해상을 지날 때 힌남노 중심기압과 최대풍속은 각각 945hPa과 45㎧(시속 162㎞)일 것으로 예상된다. 태풍 강도가 ‘매우강’이면 사람이나 커다란 돌이 날아갈 수 있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