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화국 기술이라우” 北이 파준 헤즈볼라 땅굴, 이스라엘 맹폭 버텨 [핫이슈]

윤태희 기자
윤태희 기자
수정 2024-09-26 17:54
입력 2024-09-26 17:54
이미지 확대
2019년 이스라엘-레바논 국경에서 발견된 헤즈볼라 땅굴 살피는 이스라엘군 병사. / 사진=EPA 연합뉴스
2019년 이스라엘-레바논 국경에서 발견된 헤즈볼라 땅굴 살피는 이스라엘군 병사. / 사진=EPA 연합뉴스


레바논 무장정파 헤즈볼라가 이스라엘의 공세에 막대한 타격을 입으면서도 북한과 이란의 도움으로 구축한 땅굴 등에 의존해 주요 전력을 보전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25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헤즈볼라는 2006년 이스라엘과 한차례 전쟁을 치른 이후 총연장 수백㎞의 거미줄 같은 땅굴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이미지 확대
레바논 헤즈볼라의 터널(왼쪽)과 북한의 땅굴을 비교한 모습 / 사진=알마 연구·교육센터
레바논 헤즈볼라의 터널(왼쪽)과 북한의 땅굴을 비교한 모습 / 사진=알마 연구·교육센터


이란과 북한의 도움을 받아 구축한 것으로 알려진 땅굴 중 일부는 중장비를 운반할 수 있을 만큼 거대해 압도적 화력을 퍼붓는 이스라엘군의 폭격을 버텨낼 수 있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실제 헤즈볼라는 지난달 로켓발사기와 무장대원들을 실은 트럭이 땅굴 내부를 달리는 모습이 담긴 영상을 공개한 바 있다.

이스라엘군은 최근 수일간 레바논내 헤즈볼라 군사시설을 폭격해 수만발의 로켓과 미사일, 자폭 무인기(드론) 등을 파괴했다고 밝혔지만, 헤즈볼라의 고성능 무기 대부분은 땅굴 깊숙이 보관돼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스라엘 싱크탱크 알마 연구·교육센터의 보아즈 샤피라 연구원은 이스라엘군이 아직 헤즈볼라의 장거리 미사일과 드론 기지와 같은 전략적 시설을 공격한 적이 없다고 밝히면서 이를 위한 “최종 단계에 아직 이르지 못한 것 같다”고 말했다.

지난해 10월 가자전쟁이 발발하기 전까지 헤즈볼라는 15만발에 이르는 로켓과 미사일을 비축한 것으로 알려졌다.

450∼500㎏ 상당의 탄두를 실을 수 있는 이란제 파테흐-110 지대지 탄도 미사일 등 위력적 신병기도 본격적으로 쓰이지 않은 점으로 볼 때 손실은 커도 아직은 헤즈볼라가 백기를 들 정도는 아니란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 시각이다.

지난 22일에는 헤즈볼라 대원들이 이스라엘의 폭격을 받고서도 곧장 로켓을 발사하며 응사하는 모습이 포착됐는데, 이 역시 땅굴을 이용해 피해를 최소화한데 따른 것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미지 확대
2019년 6월 이스라엘 측이 공개한 국경지역 헤즈볼라 땅굴 / 사진=AFP 연합뉴스
2019년 6월 이스라엘 측이 공개한 국경지역 헤즈볼라 땅굴 / 사진=AFP 연합뉴스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서처럼 대형 항공폭탄 등으로 땅굴을 무너뜨리기도 쉽지 않아 보인다.

영국 킹스칼리지런던(KCL)의 안보 전문가 안드레아스 크레이그는 헤즈볼라의 땅굴 네트워크는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가자지구에 건설한 것보다 훨씬 튼튼하고 강력하다고 지적했다.

이미지 확대
레바논 남부의 헤즈볼라 터널 하나는 길이가 45㎞에 달한다. / 사진=알마
레바논 남부의 헤즈볼라 터널 하나는 길이가 45㎞에 달한다. / 사진=알마


하마스의 땅굴은 모래흙이 많은 연약지반을 파서 만들어진 것인 반면, 헤즈볼라의 땅굴은 바위를 뚫고 산속 깊이 지어졌다는 것이다. 크레이그는 “이것들은 가자지구에 있는 것보다 훨씬 접근하기 어렵고 파괴하기는 더더욱 어렵다”고 말했다.

헤즈볼라 전투 대원들이 하마스 사례와 마찬가지로 땅굴에 숨어 게릴라 작전을 펼칠 수 있다는 점도 이스라엘 입장에서는 문제다.

이스라엘 국가안보연구소(INSS)의 헤즈볼라 전문가인 카르밋 발렌시는 이스라엘군이 이미 가자지구 터널에서 하마스의 독립적인 전투 부대들을 제거하기 위해 고군분투해 왔다는 점을 언급하며 “레바논에서도 직면할 수 있는 문제”라고 지적했다.

“헤즈볼라 무장대원 규모 4만~5만 명”이스라엘군은 레바논 전역의 헤즈볼라 거점을 융단폭격하는 동시에 최고위급 인사를 잇따라 제거하는 ‘참수작전’을 벌여 헤즈볼라를 조기에 굴복시키려는 듯한 모습을 보이지만, 역시 결정적 한 방이 되기는 어렵다는 평가다. 헤즈볼라 특유의 유연한 지휘체계상 누가 죽더라도 순식간에 공석이 메워지기 때문이다.

헤즈볼라 내부 사정에 밝은 소식통들은 헤즈볼라의 2인자로 불리던 특수작전 부대 라드완의 지휘관 이브라힘 아킬이 지난 20일 이스라엘의 베이루트 표적공습에 숨졌을 때도 즉각적으로 후임이 임명됐다고 전했다.

헤르지 할레비 이스라엘군 참모총장은 아킬을 암살함으로써 헤즈볼라 조직 전체를 흔들었다고 자평했지만 실제로는 그 정도로 충격이 크지 않았다는 주장이다.

앞서 지난 17∼18일 레바논 전역에서 무선호출기(삐삐)와 무전기 수천개가 동시다발로 터지면서 1500명이 넘는 헤즈볼라 무장대원이 중상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최근 발간된 미 의회 보고서는 헤즈볼라 무장대원의 수를 4만∼5만명으로 추산했으며, 헤즈볼라의 수장 하산 나스랄라는 보유 병력의 수가 10만명에 이른다고 말한 바 있다.

뼈아픈 타격이긴 해도 헤즈볼라가 상실한 전력은 전체의 일부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헤즈볼라는 이번 사건 이후 도·감청 위험이 낮은 유선 전화와 구형 무선호출기 등에 의존해 저항을 이어가고 있다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익명을 요구한 고위급 안보 당국자는 이스라엘의 공습에도 이스라엘 북부 등지를 겨냥한 헤즈볼라의 로켓 공격이 이어지는 건 헤즈볼라의 지휘체계가 유지되고 있다는 의미라고 진단하기도 했다.

크레이그는 “숫자나 기술력 때문이 아니라 회복탄력성 측면에서 볼때 (헤즈볼라는) 이스라엘이 전장에서 직면한 가장 강력한 적”이라고 말했다.

윤태희 기자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