젤렌스키 “러 파병 북한군서 사상자…총알받이 되리라 확신” [핫이슈]

윤태희 기자
윤태희 기자
수정 2024-12-02 11:00
입력 2024-12-02 11:00
이미지 확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 출처=EPA 연합뉴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 출처=EPA 연합뉴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1일(현지시간) 러시아 서부로 파병된 북한군에서 사상자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수도 키이우에서 진행한 교도통신과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하면서 북한군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군이 교전 중인 최전선에 더 많이 투입돼 러시아군의 총알받이로 사용되리라고 거의 확신한다고 덧붙였다.

이미지 확대
우크라이나 언론인 안드리 차플리엔코(56)가 11월 5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에 “쿠르스크 지역 북한군 모습을 담은 최초의 영상”이라며 공개한 북한군. / 출처=텔레그램
우크라이나 언론인 안드리 차플리엔코(56)가 11월 5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에 “쿠르스크 지역 북한군 모습을 담은 최초의 영상”이라며 공개한 북한군. / 출처=텔레그램


그러나 젤렌스키 대통령은 지금까지 북한군 약 1만 2000명이 우크라이나와 국경을 접한 러시아 쿠르스크 주에 배치됐다는 증거가 있다면서도 정확한 북한군 사상자 수를 공개하기 전에 명확한 증거가 있어야 한다며 이를 밝히지는 않았다.

이미지 확대
지난달 20일 러시아 쿠르스크 인근 마리노 마을에서 스톰섀도 미사일 파편이 발견됐다. / 출처=텔레그래프
지난달 20일 러시아 쿠르스크 인근 마리노 마을에서 스톰섀도 미사일 파편이 발견됐다. / 출처=텔레그래프


미국 국방부의 한 관리도 지난달 27일 쿠르스크 지역에서 북한군 사상자가 발생했다고 공식 확인하기도 했다. 이에 앞서 미국의 군사 전문 매체 글로벌 디펜스 코퍼레이션은 우크라이나가 지난달 20일 스톰섀도 순항미사일로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을 공격하면서 북한군 500명이 사망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또 장기적으로 더 중요한 것은 북한군이 드론 사용법 및 기타 최신 기술과 같은 현대전 지식을 습득하기 위해 실전 상황에서 러시아군으로부터 훈련받았을 것이라는 점이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북한군이 이런 노하우를 자신의 나라로 다시 가져간다면 아시아뿐 아니라 다른 지역에도 엄청난 영향을 주리라 본다고 경고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자국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을 확실하게 약속받아 러시아의 침공을 억제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지면 일부 영토는 전투 종결 후 협상을 통해 되찾을 수 있다는 방침을 재차 밝혔다.

그동안 러시아군이 점령한 영토를 모두 탈환하는 걸 목표로 항전을 공언해 왔지만, 나토 가입을 조건으로 영토 회복 전이라도 휴전 협상에 나선다는 방침으로 전환한 것이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우리 군이 크림(반도) 등 일부 영토를 탈환할 힘이 부족하다. 이것이 진실”이라면서 “외교 해결책을 찾아야만 한다”고 말했다.

그는 러시아와 전쟁의 조기 종결을 원한다면서도 “러시아가 새로운 침략을 시도할 수 없을 정도로 우크라이나가 강해질 때 비로소 외교적 수단을 생각할 수 있다”며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 승인을 촉구했다.

앞서 젤렌스키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영국 스카이뉴스 방송 인터뷰에서도 나토 가입이 승인된다면 러시아가 점령한 영토를 수복하지 못하더라도 휴전 협상에 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또 현재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동부 전선에서 계속 진군해 전황이 지극히 어렵다며 서방의 추가 지원도 호소했다.

그는 이날 키이우를 찾은 안토니우 코스타 유럽연합(EU) 정상회의 상임의장을 비롯한 EU 고위 당국자들에게도 나토 가입과 장거리 무기 사용 확대를 요청했다.

윤태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