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우주에서도 보이는 ‘악마의 불길’…“통제 불능 LA산불, 진화율 0%”[포착]

송현서 기자
송현서 기자
수정 2025-01-10 13:02
입력 2025-01-10 13:02
이미지 확대
미국 콜로라도 주립대학교 대기협동조합연구소(CIRA)이 현지시간 지난 7일 오후 2시 54분에 촬영한 위성 영상(왼쪽)을 공개했다. 역대 최악의 산불이 될 것으로 보이는 LA 산불로 현재까지 7명이 사망했다
미국 콜로라도 주립대학교 대기협동조합연구소(CIRA)이 현지시간 지난 7일 오후 2시 54분에 촬영한 위성 영상(왼쪽)을 공개했다. 역대 최악의 산불이 될 것으로 보이는 LA 산불로 현재까지 7명이 사망했다


미국 서부 최대 도시 로스앤젤레스(LA) 해안가에서 시작된 사상 최악의 산불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하고 있다.

8일(현지시간) AP통신과 CNN, 뉴욕타임스(NYT) 등 미국 언론들에 따르면 LA 산불로 현재까지 최소 7명이 사망하고 다수의 부상자가 나왔으며, 최소 13만 명이 대피했다.

이미지 확대
미국 콜로라도 주립대학교 대기협동조합연구소(CIRA)이 현지시간 지난 7일 오후 2시 54분에 촬영한 위성 영상을 공개했다. 역대 최악의 산불이 될 것으로 보이는 LA 산불로 현재까지 7명이 사망했다
미국 콜로라도 주립대학교 대기협동조합연구소(CIRA)이 현지시간 지난 7일 오후 2시 54분에 촬영한 위성 영상을 공개했다. 역대 최악의 산불이 될 것으로 보이는 LA 산불로 현재까지 7명이 사망했다


전날 오전 LA 해안가 부촌 지역인 퍼시픽 팰리세이즈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은 최근 이 일대에서 불고 있는 국지성 돌풍 ‘샌타애나’로 인해 통제 불능 수준으로 확산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7일 밤 캘리포니아주 이튼과 허스트에 이어 8일 아침 우들리에서도 각각 산불이 났다.

이어 올리바스와 리디아, 할리우드힐스 등에서 추가 산불이 보고되면서 7건의 대형 산불이 동시다발적으로 LA와 그 주변 지역을 초토화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미국 콜로라도 주립대학교 대기협동조합연구소(CIRA)이 현지시간 지난 7일 오후 2시 54분에 촬영한 위성 영상을 공개했다. 역대 최악의 산불이 될 것으로 보이는 LA 산불로 현재까지 7명이 사망했다
미국 콜로라도 주립대학교 대기협동조합연구소(CIRA)이 현지시간 지난 7일 오후 2시 54분에 촬영한 위성 영상을 공개했다. 역대 최악의 산불이 될 것으로 보이는 LA 산불로 현재까지 7명이 사망했다


이번 펠리세이즈 산불은 우주에서도 관측됐다. 유럽우주국(ESA)의 센티넬-2위성은 7일 태평양 위로 뻗어나가는 연기 불길과 연기 기둥을 포착했다. 우주에서 촬영된 위성사진은 산타 모니카 바로 서쪽의 숲이 우거진 지역에서 산불이 발생한 뒤 불길이 퍼지기 시작한 모습을 생생하게 담고 있다.

미국 콜로라도 주립대학교 대기협동조합연구소(CIRA)도 위성 영상 공개했다. 7일 오후 2시 54분, 산불이 뿜어내는 붉은 불빛과 연기가 우주에서도 선명하게 보였다.

NASA의 아쿠아위성은 화재가 퍼시픽 펠리세이즈의 골목 곳곳에까지 번진 모습을 포착했다.

이미지 확대
현지시간 지난 7일 10시 36분, 미국 LA에서 발생한 산불이 우주에서도 포착됐다. 유럽우주국 센티넬-2 위성 촬영. ESA 제공
현지시간 지난 7일 10시 36분, 미국 LA에서 발생한 산불이 우주에서도 포착됐다. 유럽우주국 센티넬-2 위성 촬영. ESA 제공


우주에서도 보일 만큼 시뻘겋게 타오르는 산불은 그야말로 지옥을 만들어냈다. 이번 산불은 현지에서 ‘악마의 바람’이라고도 불리는 샌타애나 국지성 돌풍 탓에 더욱 빠르고 강하게 번졌다.

캘리포니아 지역에서 주로 가을과 겨울에 발생하는 샌타애나 돌풍은 평균 3일간 지속되며, 연간 약 10~35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미지 확대
지난 7일 미국 LA 퍼시픽 팰리세이즈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하고 있다. 사진은 산불 피해를 입은 주택. AFP 연합뉴스
지난 7일 미국 LA 퍼시픽 팰리세이즈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하고 있다. 사진은 산불 피해를 입은 주택. AFP 연합뉴스


현지 기상 전문가들은 올해 샌타애나 돌풍의 풍속이 시속 65㎞, 최대 시속 160㎞를 넘어섰고, 이것이 통제 불능의 산불을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매서운 바람은 불씨와 만나 거대한 산불로 이어졌고, 소방 당국은 좀처럼 잡히지 않는 불길에 애를 먹고 있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일부 산불은 진화됐으나, 큰 피해를 낸 대형 산불은 아직까지 진화율 0%에 머무르고 있어 피해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송현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