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표정이 ‘거짓’일까…꾀병 감지 기술 개발 <美 연구팀>

윤태희 기자
업데이트 2014-03-24 18:19
입력 2014-03-24 00:00
이미지 확대
어느 표정이 ‘거짓’일까? 정답은 오른쪽.(UC 샌디에이고)
어느 표정이 ‘거짓’일까? 정답은 오른쪽.(UC 샌디에이고) 사이언스데일리 캡처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사람이 통증을 느낄 때의 얼굴 표정이 ‘진짜’인지 ‘가짜’인지를 인간보다 더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샌디에이고캠퍼스(이하 UC 샌디에이고)와 캐나다 토론토대학의 공동 연구팀이 개발했다고 미국 과학전문매체 사이언스데일리가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주저자인 마리안 바트렛 교수(UC 샌디에이고 신경계산연구소)는 “이 컴퓨터 시스템은 우리 인간이 놓칠 수 있는 얼굴 표정의 독특하고 동적인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사람들은 고통을 나타낸 표정이 진짜인지 거짓인지를 구별해내는 능력이, 즉흥적으로 ‘무작위로 찍을 때’보다도 못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심지어 거짓 표정을 가려내는 훈련을 받은 후에도 진짜와 가짜 표정을 구분해내는 확률이 겨우 55%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연구팀이 개발한 컴퓨터 시스템은 거짓 표정을 구분해내는 정확도가 85%에 이른다고 한다.

책임저자인 리 강 교수(토론토대 아동연구소)는 “인간의 얼굴은 감정과 고통을 비롯해 풍부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진화했다”면서 “인간은 실제로 느끼지 않은 감정을 얼굴 표정으로 가장할 수 있으며 이때 나타나는 거짓된 감정은 보는 사람들 대부분을 속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꾀병 감지 기술 과정.(커런트 바이올로지)
꾀병 감지 기술 과정.(커런트 바이올로지) 셀닷컴 캡처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하지만 이들이 개발한 컴퓨터 시스템은 인간이 의식적으로 짓는 표정이나 무의식적인 얼굴의 움직임에 관한 차이를 놓치지 않고 파악할 수 있다. 이는 개발 시 어떻게 인간의 거짓된 표정을 파악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춰 시행착오를 반복하면서 미세한 변화를 가려낼 수 있도록 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바트렛 교수는 “감정을 나타내는 신호와 관련한 신경제어 시스템의 행동을 ‘지문’처럼 감지할 수 있으며, 이 신호는 말할 때 입을 언제, 어떻게 벌리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거짓을 말할 때 ‘입 모양’에서 차이를 보이는 데, 크기 변화는 적지만 아주 규칙적이라는 것. 이를 우리 ‘눈’으로 판별하긴 어렵지만 컴퓨터 시스템으로는 이 미세한 변화를 알아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번 연구결과는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 20일자에 실렸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