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무관과 플라스틱 등을 연결한 장치는 사방 2m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안됐다. 장치를 착용한 예술가는 토론토 시내 켄싱턴 마켓으로 향했다. 하지만 시작부터 난관에 봉착했다. 도보가 너무 좁아 여기저기 걸리고 부딪히느라 안전거리를 유지한 채로는 제대로 걸을 수조차 없었다.
로츠테인은 “사회적 거리를 유지하며 걸을 수 있는 유일한 안전장소는 차도 한가운데뿐”이라면서 밴쿠버, 몬트리올처럼 차도를 봉쇄해서라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보도는 너무 좁다. 차도를 폐쇄해야 2m 안전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면서 “토론토는 보행자들이 안전하게 거닐 수 있는 더 많은 공간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라고 지적했다.
독일 베를린도 그 뒤를 따라 일반 자동차도로를 자전거도로로 임시 개편했다. 이탈리아 밀라노 역시 21일 자전거도로와 보행도로를 확충하는 새로운 도시계획안을 발표했다. 영국 브라이튼은 아예 해변 일부 도로를 보행자와 자전거 전용으로 개방하기도 했다.
일단 존 토리 토론토시장은 일방통행식 도보 운영을 제안한 상태다. 미 존스홉킨스대 집계에 따르면 23일 현재 캐나다의 코로나19 확진자는 4만1650명, 사망자는 2081명에 이른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