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영의 무기 인사이드] 해병대 상륙공격헬기 사업 날지도 못하고 추락하나

박종익 기자
업데이트 2020-05-16 11:07
입력 2020-05-16 10:53
이미지 확대
최근 해병대의 상륙공격헬기 논란이 커지면서 향후 도입사업에 차질을 빚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사진=김대영)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최근 해병대의 상륙공격헬기 도입사업이 논란이 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일부에서는 이러다 해병대 상륙공격헬기 사업이 날지도 못하고 추락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상륙공격헬기는 상륙작전이 실시되면 공중에서 해병대원들을 엄호하고 상륙기동헬기인 마린온과 함께 적진 깊숙이 침투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논란의 핵심은 본격적인 사업 시작에 앞서 국방기술품질원(기품원)이 선행연구를 진행했는데, 그 결과 마린온을 기반으로 한 국내개발로 가닥이 잡히면서 이를 두고 잡음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상륙공격헬기 최초 도입비용은 해외 도입이 국내 개발보다 일단 싸지만, 30여 년간의 무기체계 총 수명 주기 비용을 고려하면 국내 개발이 1000억~2000억 원가량 더 저렴하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이밖에 마린온 무장형 개발에는 3000억 원 이상의 돈과 2~3년 이상의 개발기간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개발될 마린온 무장형은 ROC(Required Operational Capability) 즉 군 작전요구성능을 충족하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각에서는 마린온 무장형이 수직상승속도 등 성능 면에서 해외 후보에 비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러한 여론에 힘입어 꼭 해외 기종을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군 일각에서는 적법하게 그리고 정당하게 추진된 선행연구 결과를 제쳐두고, 해외기종에 여론이 힘을 실어주는 것은 불공정한 처사라고 얘기하고 있다.

또한 이런 여론을 해병대가 뒤에서 조장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마저 들게 한다고 전한다. 특히 해외 기종 도입을 주장하는 이 가운데는 해병대와 밀접하게 연관된 사람들도 다수 포함되어 있다. 해외기종을 고집하는 여론들이 제기하는 문제들, 특히 방호능력이나 속도 등은 너무 과장되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비록 해외기종들에 비해 일부 성능이 떨어지는 부분이 존재하지만, 마린온 무장형이 군이 요구한 성능을 완전히 충족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렇게까지 비난받아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공격헬기의 최근 트렌드는 항공기 자체의 성능 보다는 MUM-T(Manned and Unmanned Team) 즉 유·무인기 합동 작전이다.

아무리 성능 좋은 공격헬기라고 전장상황을 면밀하게 파악하지 못하면 격추될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무인기를 위험한 적진으로 먼저 보내 정찰시키고, 뒤따르던 공격헬기는 무인기로부터 정찰 정보를 받아 뒤에서 공격하는 것이다. 유·무인기 합동 작전을 통해 공격헬기의 생존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장상황을 보다 자세히 알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해외기종을 도입할 경우 대부분의 기술과 장비를 해외에서 들여와야 하기 때문에 유·무인기 합동 작전 구축에 막대한 예산과 함께 외국정부의 허락이 필요하다. 반면 국내기종이 해병대의 상륙공격헬기로 도입되면 이미 구축된 국내기반기술을 이용해 최소의 비용으로 유·무인기 합동 작전을 구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해병대 공격헬기 사업은 미래지향적인 시각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김대영 군사평론가 kodefkim@naver.com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