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의대 “코로나19, 우한서 작년 가을부터 이미 시작…환자 급증”

송현서 기자
업데이트 2020-06-09 11:16
입력 2020-06-09 11:16
이미지 확대
사진=AP연합뉴스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이미지 확대
중국우한과기대학 소속 톈요병원의 2018년 10월 10일(왼쪽) 주차장 모습과 2019년 10월 17일(오른쪽) 주차장 모습. 병원을 이용하는 차량의 수가 증가했다. (사진=ABC뉴스)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전 세계 코로나19 확진자가 700만명, 사망자가 40만 명을 넘어선 가운데, 미국 하버드대 연구진이 코로나19의 발원지인 우한에서 이미 지난해 늦여름 또는 가을부터 확진자가 발생하기 시작했다는 연구결과를 내놓았다.

미국 ABC뉴스의 8일 보도에 따르면 하버드의과대학 존 브라운스테인 박사 연구진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시초를 밝히기 위해 사용한 자료 중 하나는 위성 사진이다. 연구진은 우한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처음 발생한 것으로 알려진 12월보다 2개월 앞선 10월, 우한 주요 병원 주차장의 모습을 담은 위성 사진을 분석했다.

대표적으로 2019년 10월 10일 당시 우한과학기술대학 소속 톈요병원의 주차장을 이용한 차량은 285대로, 전년 동기 대비 67% 더 많았다. 다른 병원의 2018년 대비 2019년 10월 주차장 이용객 역시 최대 90%까지 더 많았다.
이미지 확대
우한대학 중난병원의 주차장 모습. 왼쪽이 2018년 10월 10일, 오른쪽이 2019년 10월 17일로, 역시 병원 이용 차량이 증가한 모습을 볼 수 있다(사진=ABC뉴스)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이미지 확대
지난해 중순부터 올해 초까지, 우한 내에서 바이두를 이용해 ‘감기’ ‘설사’ 등을 검색한 기록 (사진=ABC뉴스)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연구진은 병원을 찾는 사람들이 전년 대비 급증했다는 것은, 특정한 질병의 전염이 존재했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가설을 세웠다. 이를 입증하기 위한 자료로는 중국 최대 포털사이트인 바이두의 검색 기록을 살폈다.

우한 주민들이 바이두에서 2019년 10월 ‘기침’, ‘설사’ 등을 검색한 기록을 분석한 결과, 같은 해 초에 비해 기침과 설사 증상에 대한 검색량은 정확히 8월부터 높아지기 시작해 10월경부터 가파른 상승 곡선을 보였다.

연구진은 환절기가 되면 일반적인 감기 증상을 보이는 사람들이 많아지는 것은 사실이나, 감기와는 다소 무관하며 코로나19의 증상이기도 한 설사 증상을 검색하는 사람이 많았다는 것은 이미 이 시기에 감염자가 다수 존재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연구를 이끈 브라운스테인 박사는 “일반적으로 주차장이 가득 차면 (환자가 많다는 뜻이므로) 병원이 바빠진다. 병원에 더 많은 자동차와 사람이 모인다는 것은 감염 우려가 더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호흡기 질환은 지역사회에서 더욱 쉽게 확산되는 특정한 유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병원을 더 많이 찾고 관련 질환을 더 자주 검색하는) 이러한 패턴은 이미 코로나19에 걸린 사람들이 당시에는 문제를 깨닫지 못했을 뿐, 이미 ‘어떤 일’이 있었다는 것을 설명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전했다.

코로나19 최초 발병 시기가 중국 측 설명과는 상이할 것이라는 주장이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중국이 처음으로 집단 감염을 보고한 날은 2019년 12월 31일. 이후 세계보건기구(WHO)에 이들 환자의 최초 증상 발현은 12월 8일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밝혔다. 그러나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중국 정부의 미발표 자료를 근거로 들어, 중국의 첫 번째 코로나19 확진자는 지난해 11월 17일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주장했다.

코로나19 발원지와 시기를 두고 세계 각국이 치열한 책임 공방을 이어가고 있다. 일각에서는 우한에 위치한 바이러스연구소에서 바이러스가 유출된 것으로 보인다는 음모론을 펼치고 있지만, 해당 연구소는 오히려 코로나19가 동남아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내용의 논문을 지난 4일 공개하면서 논란은 더욱 거세지고 있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