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톡! 톡! talk 공무원] 한동규 고용부 비상안전담당관실 사무관

정현용 기자
수정 2015-12-24 03:55
입력 2015-12-23 17:48
주역 왜 배우냐고요? 공직 덕목 다 들어 있죠

경전을 공부하는 공무원들이 있다는 소문을 듣고 수소문해 23일 세종시 고용노동부 청사에서 만난 한동규(48) 고용부 비상안전담당관실 사무관은 주역을 이렇게 풀이했다.
주역은 유교 경전 중 3경으로 불리는 시경, 서경, 역경 중 역경에 해당하는 책이다. 천지만물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자연현상의 원리를 설명하고 풀이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흔히 주변에서 접하는 ‘풍수지리’, ‘사주풀이’의 원전으로 불리는 책이다.
하지만 단순히 한자를 잘 읽는다고 해서 주역을 이해하기가 쉬운 것은 아니다. 오묘한 진리가 담겨 있어 스스로 깨우치는 데 한계가 있다. 한 사무관은 “중년이 되면서 물질에 치여 산다는 게 너무 큰 스트레스로 다가오고, 영화를 보고 책을 아무리 읽어도 삶이 공허하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면서 “계룡산에서 이름난 스승을 초청해 올해 초 주역 동아리를 만들고, 본격적으로 학문을 배우면서 활력이 생겼다”고 말했다.
공무원으로서 주역을 배우는 이유는 뭘까. 늘 야근과 격무에 시달리면서도 세종청사 공무원 10명 이상이 그와 함께 꾸준히 주역을 공부하고 있다고 했다. ‘고리타분한 학문을 왜 배우느냐’는 주변의 물음도 있을 터였다. 한 사무관은 “주역은 단순히 글을 읽고 외는 학문이 아니다. 그렇다면 벌써 다 공부를 그만뒀을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이어 “주역 64괘 가운데 15번째 괘로 가장 중요하다고 하는 지산겸괘(地山謙卦)라는 것이 있다”면서 “땅 아래에 산이 있다는 말로, 풀이하면 겸손하라는 뜻이 된다. 공직자로서 갖춰야 할 덕목이 주역에 다 들어 있는, 마음을 수양하는 학문”이라고 설명했다.
●지인·동료들 사주풀이 해주는 재미 쏠쏠
지인이나 동료들에게 해주는 사주풀이는 대인관계를 살찌우는 데 밑거름이 됐다고 했다. 그는 24년간 육군에서 군 생활을 하다 소령으로 예편했고, 경력 채용을 통해 고용부에서 근무하고 있다. 한 사무관은 “술(術)에 너무 빠지면 기본이 흔들려 어려움이 있지만 가끔씩 사주풀이나 손금 보는 법을 주변 사람에게 알려주면 대인관계를 좋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주역 풀이를 단기간에 배울 수는 없겠지만, 지역 명칭에 얽힌 몇 가지 재미있는 주역 풀이를 알려달라고 했다. 그러자 그는 “세종시에 종촌(宗村)이라는 지명이 있는데 이 이름 때문에 인근에 세종청사가 들어왔다는 풀이가 있다”면서 “담양(潭陽)처럼 담(潭)이라는 명칭이 들어 있는 지역은 댐이 들어서게 된다”는 흥미로운 해석을 내놓았다. 끝으로 한 사무관은 “가끔씩 땅값이 올라갈지 미리 알아내기 위해 공부하러 오는 분들이 있는데 그것은 바람직한 태도가 아니다”면서 “늘 경의(敬意)를 갖고 인성교육을 한다고 생각하고 마음가짐을 다잡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세종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5-12-24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