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연구팀 “죠스 보다 사자 턱 힘이 더 강해 ”

강경윤 기자
수정 2009-01-02 13:01
입력 2009-01-02 00:00
이미지 확대


거대 식인 백상어가 인간을 공격하는 내용을 담은 영화 ‘죠스’(Jaws).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이 영화의 제목인 ‘죠스(턱)’는 바뀌어야 할지도 모르겠다. 상어의 턱 힘은 같은 포유류에 비해 강하기는 커녕 오히려 더 약하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기 때문.

미국 플로리다 템파 대학교 연구팀은 목숨을 건 실험을 통해 상어들의 턱 힘에 대해 조사했고 그 결과 “상어는 그 크기가 같은 포유류 보다 턱 힘이 오히려 약하다.”고 과학저널 ‘생리학과 생화학적 동물학’ 최신호에서 주장했다.

다니엘 허버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실험을 위해 상어의 공격을 피한 장치를 한 뒤 10개의 상어 종을 대상으로 턱의 힘을 조사했다. 샌드 상어처럼 몸집이 작은 상어는 직접 먹이 감을 무는 힘을 측정했고 몸집이 큰 상어들은 전기장치를 이용해 턱 근육 양을 측정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큰 머리와 몸집을 가진 상어가 비슷한 크기의 포유류에 비해 턱 힘이 적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턱 힘이 약하면 그만큼 먹이를 무는 힘이 약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허버 박사는 “상어는 비슷한 크기 포유류인 사자나 호랑이 보다 턱 힘이 더 약했다. 하지만 무는 힘은 약하지만 턱이 더 크기 때문에 직접 둘이 만난다면 상어가 힘이 더 우세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상어가 턱 힘이 약한 생물학적 약점에도 불구 바다의 최종 포식자가 될 수 있는 이유는 먹이 감을 삼킬 수 있는 큰 턱과 먹이를 치명적으로 공격할 수 있는 매우 날카로운 이빨이 있기 때문이다.

허버 박사는 “몸 크기가 6m에 달하는 백상아리의 경우 턱이 크고 이빨이 날카롭기 때문에 웬만한 것은 다 해치울 수 있다.”고 설명하며 “반면 육지에 사는 포유류는 턱이 좁기 때문에 턱 힘이 세도록 진화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추측했다.

사진= moviedesc.com

서울신문 나우뉴스 강경윤기자 newsluv@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