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팬지 vs 개’ 중 누가 더 기억력 좋을까?
수정 2015-02-28 17:24
입력 2015-02-28 17:23
나쁜 버릇을 가진 애완견을 교육시키는데 어려움을 겪었던 경험이 있는 애견인이라면 다음의 연구결과에 관심을 가져 볼 필요가 있겠다.
최근 스웨덴 스톡홀름대학 연구진은 개와 침팬지 등 동물들의 기억력을 테스트하는 실험을 실시했다. 연구진은 비둘기와 돌고래, 개코 원숭이와 침팬지와 개 등 총 25종의 동물들을 대상으로 ‘빨간점’을 보여준 뒤,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다시 ‘빨간점’과 ‘검은 사각형’을 보여줬다.
이때 이전과 같은 ‘빨간점’을 선택한 동물에게는 보상(먹이)을 주었고, 이 실험을 반복해서 실시한 결과 동물들의 단기 기억 유지시간은 평균 27초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개코 원숭이와 돼지꼬리원숭이, 다람쥐원숭이 등의 기억력은 곤충 벌과 비교했을 때 매우 근소한 차이로 높았다.
사람과 매우 유사한 행동양식을 보이는 침팬지의 경우, 단기기억시간은 평균보다 낮은 20초였으며, 인류의 오랜 동반자인 개는 이중 가장 높은 2분을 기록했다. 개가 주인에게 훈계 및 훈련을 받아도 다시금 나쁜 버릇이 반복되는 것은 이러한 단기기억능력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연구를 이끈 스톡홀름대학교의 요한 린드 박사는 “어떤 일에 대해 단기적으로 기억하는 능력을 측정한 결과 모든 동물들이 비슷한 단기기억시간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놀라운 것은 침팬지의 단기기억능력이 쥐 등 설치류보다 낮았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동물들은 각기 다른 기억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특히 단기기억의 경우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예컨대 수탉의 경우 수 개월간 자신이 먹이를 숨겨둔 장소를 기억할 수 있는 반면, 같은 조류라 할지라도 단 몇 분 이내에 이것을 잊어버리기도 한다”고 덧붙였다.
또 “놀라운 것은 침팬지의 기억력이다. 우리와 가장 유사한 종(種)임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기억력은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고 전했다.
연구진은 인류 역사상 말하고, 읽는 것을 배우고, 사회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정신적인 능력이 발달, 동물보다 뛰어난 기억력을 가질 수 있었던 것으로 분석했다.
이번 연구는 수 백 만년 동안 이뤄진 인간의 정신적 진화 과정을 밝히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