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00만 년 전 공룡이 멸종한 진짜 이유(연구)
수정 2017-01-04 10:08
입력 2017-01-03 19:11

중생대 백악기 말의 공룡이 왜 멸종하게 되었는지에 관한 수수께끼가 마침내 풀렸다.
최근 플로리다 주립대학과 캘거리대학의 자연과학자들은 공룡이 알에서 깨어나 성체기로 접어드는데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6500만 년 전 운성의 충돌 이후 충분한 개체수를 회복하지 못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는 미국국립과학원 회보(PNAS) 최신호에 실렸다.
연구팀은 CT스캐너를 통해 이미 형성된 배아의 치열을 시각화했고, 몇 개의 이빨을 뽑아냈다. 그 후 이빨에 난 흔적들을 근거로 공룡이 부화하는데 얼마만큼의 시간이 걸리는지 계산할 수 있었다.
이빨에는 상아질이라는 단단한 부분이 있는데, 그 곳에 매일 새로운 층의 선들이 생겨난다고 한다. 이빨의 생장선은 공룡이 얼마의 시간 동안 알 속에서 자랐는지 정밀하게 보여준다.

과학자들은 미세한 생장선을 세서 공룡이 태어나는데 3~6개월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리고 오랜 부화기간이 알에서 갓 깨어난 새끼와 그를 낳은 부모가 포식자에게 잡아먹히기 쉽게 만들고, 종족을 재확립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한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플로리다주립대학의 생물과학 교수인 그레고리 에릭슨은 "사실상 아무것도 알려지지 않았지만, 공룡에 관한 가장 위대한 수수께끼 중 일부는 그들의 태생학과 관계가 있다"고 전했다.
반면 조류와 작은 포유류는 새끼가 태어나는데 불과 몇 주밖에 걸리지 않는다.
과학자들은 조류가 현존하는 공룡일 수 있다는 이유로 11~85일 안에 부화하는 새와 공룡의 산란기가 유사하다고 오랫동안 추측해왔다. 그러나 비슷한 크기의 파충류 알은 전형적으로 몇 주 내지 몇 개월까지 두 배 넘게 걸린다. 공룡이 둘 중 어디에 적합한지 알아내기 위해 공룡 배아의 화석을 연구하게 된 셈이다.
캘거리대학의 지구과학과 부교수인 달라 젤레니츠스키는 "배아는 공룡이 어떻게 진화했고, 얼마나 빠르게 자랐는지를 보여주는 동시에 새나 파충류 중 어디와 더 유사한지 우리에게 말해준다"고 설명했다. 또한 "알에 있는 시간은 성장과정에서 중요한 시간이다. 그러나 공룡의 배아가 희귀한 것으로 봐서 초기 성장시기도 불충분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연구진들이 검사한 공룡 배아는 두 종류다. 하나는 3개월 정도 된 프로토케라톱스, 다른 하나는 6개월 된 히파크로사우르스의 배아였다. 각각 고비사막과 캐나다 알버타주에서 발견됐다.
사진=텔레그래프 캡쳐
안정은 기자 netiner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