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00만 년 전 공룡이 멸종한 진짜 이유(연구)

수정 2017-01-04 10:08
입력 2017-01-03 19:11
이미지 확대
영화 <쥬라기 공원>속  리처드 아텐보로가 공룡의 부화를 지켜보고 있다.
영화 <쥬라기 공원>속 리처드 아텐보로가 공룡의 부화를 지켜보고 있다.


중생대 백악기 말의 공룡이 왜 멸종하게 되었는지에 관한 수수께끼가 마침내 풀렸다.

최근 플로리다 주립대학과 캘거리대학의 자연과학자들은 공룡이 알에서 깨어나 성체기로 접어드는데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6500만 년 전 운성의 충돌 이후 충분한 개체수를 회복하지 못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는 미국국립과학원 회보(PNAS) 최신호에 실렸다.

연구팀은 CT스캐너를 통해 이미 형성된 배아의 치열을 시각화했고, 몇 개의 이빨을 뽑아냈다. 그 후 이빨에 난 흔적들을 근거로 공룡이 부화하는데 얼마만큼의 시간이 걸리는지 계산할 수 있었다.

이빨에는 상아질이라는 단단한 부분이 있는데, 그 곳에 매일 새로운 층의 선들이 생겨난다고 한다. 이빨의 생장선은 공룡이 얼마의 시간 동안 알 속에서 자랐는지 정밀하게 보여준다.
이미지 확대
6개월된 히파크로사우르스 배아의 이빨에 나타난 생장선.
6개월된 히파크로사우르스 배아의 이빨에 나타난 생장선.


과학자들은 미세한 생장선을 세서 공룡이 태어나는데 3~6개월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리고 오랜 부화기간이 알에서 갓 깨어난 새끼와 그를 낳은 부모가 포식자에게 잡아먹히기 쉽게 만들고, 종족을 재확립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한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플로리다주립대학의 생물과학 교수인 그레고리 에릭슨은 "사실상 아무것도 알려지지 않았지만, 공룡에 관한 가장 위대한 수수께끼 중 일부는 그들의 태생학과 관계가 있다"고 전했다.

반면 조류와 작은 포유류는 새끼가 태어나는데 불과 몇 주밖에 걸리지 않는다.

과학자들은 조류가 현존하는 공룡일 수 있다는 이유로 11~85일 안에 부화하는 새와 공룡의 산란기가 유사하다고 오랫동안 추측해왔다. 그러나 비슷한 크기의 파충류 알은 전형적으로 몇 주 내지 몇 개월까지 두 배 넘게 걸린다. 공룡이 둘 중 어디에 적합한지 알아내기 위해 공룡 배아의 화석을 연구하게 된 셈이다.

캘거리대학의 지구과학과 부교수인 달라 젤레니츠스키는 "배아는 공룡이 어떻게 진화했고, 얼마나 빠르게 자랐는지를 보여주는 동시에 새나 파충류 중 어디와 더 유사한지 우리에게 말해준다"고 설명했다. 또한 "알에 있는 시간은 성장과정에서 중요한 시간이다. 그러나 공룡의 배아가 희귀한 것으로 봐서 초기 성장시기도 불충분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이미지 확대
고비사막에서 발견한 부화한 프로토세라톱스의 화석.
고비사막에서 발견한 부화한 프로토세라톱스의 화석.


연구진들이 검사한 공룡 배아는 두 종류다. 하나는 3개월 정도 된 프로토케라톱스, 다른 하나는 6개월 된 히파크로사우르스의 배아였다. 각각 고비사막과 캐나다 알버타주에서 발견됐다.

사진=텔레그래프 캡쳐

안정은 기자 netiner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