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미세플라스틱 30억개가 바다로…갠지스강의 심각한 문제
윤태희 기자
수정 2021-01-31 10:47
입력 2021-01-31 10:46

그런데 영국 플리머스대학 연구팀은 지금까지 간과돼 왔던 또 다른 오염 문제의 심각성을 경고하고 나섰다. 바로 미세 플라스틱이다. 크기 5㎜ 이하의 미세 플라스틱은 물속에서 해양 생물의 주요 먹이인 플랑크톤과 구분되지 않기 때문에 심각한 문제다. 많은 수중 생물이 미세 플라스틱을 섭취하고 다시 먹이 사슬을 통해 더 큰 동물이 이를 섭취하면서 이제는 우리 식탁에 오르는 해산물에서도 미세 플라스틱이 발견되고 있다. 그런데 이런 미세 플라스틱이 해양 생태계로 들어가는 주요 경로 중 하나가 바로 바다로 유입되는 강물이다.
그런데 사실 갠지스강만 미세 플라스틱 오염 문제가 심각한 건 아니다. 큰 도시와 인구 밀집 지대를 지나는 주요 하천은 대부분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매년 바다로 유입되는 플라스틱 쓰레기의 양은 800~1200만t 정도로 추정되는데, 이 가운데 400만t 정도가 강을 통해 유입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결국 막대한 양의 미세 플라스틱이 바다로 유입되어 다시 생태계의 먹이 사슬을 타고 우리의 식탁으로 다시 돌아올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한번 바다로 유입된 미세 플라스틱은 사실상 회수가 불가능하다. 자연적으로 가라앉아 생태계에서 제거되기만을 바랄 수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최선의 방책은 아예 유입되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노력은 몇몇 국가가 아니라 모든 국가가 동참할 때 진정한 의미가 있다. 바다는 모든 인류와 지구 생태계의 공동 자산이기 때문이다.
고든 정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