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있어 다행이야…5.5㎝ 피그미 카멜레온 발견

윤태희 기자
수정 2021-08-05 18:15
입력 2021-08-05 18:15
이미지 확대
살아있어 다행이야…5.5㎝ 피그미 카멜레온 발견(사진=크리스털 톨리)
살아있어 다행이야…5.5㎝ 피그미 카멜레온 발견(사진=크리스털 톨리)
무분별한 삼림벌채 탓에 멸종한 것으로 여겨진 매우 작은 카멜레온 한 종이 다시 발견됐지만 여전히 멸종 위기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남아프리카공화국 국립생물다양성연구소의 크리스털 톨리 박사가 이끄는 국제연구진은 아프리카 남동부 말라위 저지대 열대우림에 서식하는 몸길이 최대 5.5㎝의 채프먼스 피그미 카멜레온(학명 Rhampholeon chapmanorum)을 다시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말라위 숲에서 채프먼스 피그미 카멜레온을 찾고 있는 크리스털 톨리 박사의 모습.(사진=게리 브라운 연구원)
말라위 숲에서 채프먼스 피그미 카멜레온을 찾고 있는 크리스털 톨리 박사의 모습.(사진=게리 브라운 연구원)
연구논문 주저자이기도 한 톨리 박사는 “이 카멜레온은 세계에서 가장 보기 드문 카멜레온 종 중 하나로, 체색은 거의 갈색이지만, 아름다운 파란색이나 녹색으로 변할 수 있다”면서 “다른 카멜레온 종과는 대조적으로 피그미 카멜레온은 성격이 온순하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카멜레온의 멸종 위험은 파충류 전체 평균보다 훨씬 높다. 카멜레온 종 가운데 34%가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돼 있고 18%는 멸종위기에 가까운 상태라고 이들 연구자는 지적했다. 멸종 위험에 노출된 종은 대부분 삼림 생활에 특화돼 있어 특정 환경이 아니면 살 수 없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채프먼스 피그미 카멜레온의 서식지인 자연림 대부분이 옥수수나 카사바를 키우기 위한 농장으로 개간됐다.(사진=크리스털 톨리)
채프먼스 피그미 카멜레온의 서식지인 자연림 대부분이 옥수수나 카사바를 키우기 위한 농장으로 개간됐다.(사진=크리스털 톨리)
연구자들은 이 피그미 카멜레온 종이 1992년 학계에 처음 소개된 뒤로 대규모 삼림 벌채 징후를 포착하고 종 보호를 염두에 두고 다 자란 성체 카멜레온 37마리를 다른 삼림지대에 풀어놨었다.

2001년과 2012년 현지 조사 당시만 해도 이들 카멜레온은 아직 서식하고 있었지만, 2014년 조사에서는 단 한 마리의 존재도 확인되지 않아 멸종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여겨졌다.
이미지 확대
낙엽과 같은 색으로 위장한 채프먼스 피그미 카멜레온의 모습.(사진=크리스털 톨리)
낙엽과 같은 색으로 위장한 채프먼스 피그미 카멜레온의 모습.(사진=크리스털 톨리)
이미지 확대
채프먼스 피그미 카멜레온 몸에 있는 파란색이나 녹색으로 변하는 점들은 같은 종끼리 의사소통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추정된다.(사진=크리스털 톨리)
채프먼스 피그미 카멜레온 몸에 있는 파란색이나 녹색으로 변하는 점들은 같은 종끼리 의사소통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추정된다.(사진=크리스털 톨리)
그러던 2016년, 이번 연구논문의 저자들이 세 곳의 삼림지대에서 야간 조사를 시행했다. 그 결과, 첫 번째 오솔길에서 성체 카멜레온 7마리, 이곳에서 남서쪽으로 약 6㎞ 떨어진 지점에서 성체 10마리, 그리고 1998년 37마리를 풀어놨던 숲에서 성체 21마리와 새끼 11마리가 서식하는 것을 발견했다.

그런데 표본의 DNA를 분석해보니 각 장소에서 발견된 카멜레온 사이에 유전자 구조상 현격한 차이가 확인됐다는 것.

이에 대해 논문 저자들은 삼림 벌채의 영향으로 근접한 삼림 지대에 사는 카멜레온 간의 번식 능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지적했다. 톨리 박사도 짝짓기 대상이 줄어 멸종 위험이 늘어나고 있어 삼림 보호를 위한 대처가 급선무라고 강조했다.

반면 이번 논문에 관여하지 않은 생물학자 에릭 로트먼 미국 샌프란시스코주립대 명예교수는 유전자 상의 차이에 대해 삼림 벌채 이전의 데이터를 분석하지 않는 이상 환경 변화에 원인을 둔다고 결론짓기 어렵다고 밝혔다.

자세한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오릭스’ 최신호에 실렸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