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그림자에 달이 ‘쏙’…19일 하늘에 ‘부분월식’ 펼쳐진다

박종익 기자
수정 2021-11-11 10:36
입력 2021-11-11 10:36
이미지 확대
2017년 8월 8일 촬영된 부분월식
2017년 8월 8일 촬영된 부분월식
오는 19일(금) 달 일부가 지구의 그림자에 가려지는 천문현상인 ‘부분월식’이 밤하늘에 펼쳐진다. 월식은 지구와 달, 태양이 일직선상에 놓여 지구의 그림자가 달을 가리는 현상으로, 달의 전체를 가리면 개기월식, 일부분을 가리면 부분월식이라 한다. 항상 보름달일 때에 일어나는 현상인데, 달의 궤도와 지구의 궤도가 약 5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달이 보름달이더라도 월식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이번 월식이 19일 16시 18분 24초에 달의 일부분이 가려지는 부분식이 시작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천문연구원은 달이 17시 16분에 뜨기 때문에 월출 이후 시점부터 관측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날 지구 본그림자가 달을 가리는 부분식은 16시 18분 24초에 시작되어 18시 2분 54초에 최대로 가려지고, 19시 47분 24초에 월식이 종료된다.

천문연구원에 따르면, 이번 부분월식의 최대 식분은 0.978로 달의 대부분이 가려져 맨눈으로도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이번 월식은 아프리카 서부, 유럽 서부, 아메리카, 아시아, 호주, 대서양과 태평양에서 볼 수 있다.
이미지 확대
2021년 11월 19일 부분월식 진행도. 저녁 5시 16분 월출 때부터 부분식을 볼 수 있으며, ‘최대식’ 시각은 18시 2분 54초이다.(출처=한국천문연구원)
2021년 11월 19일 부분월식 진행도. 저녁 5시 16분 월출 때부터 부분식을 볼 수 있으며, ‘최대식’ 시각은 18시 2분 54초이다.(출처=한국천문연구원)
달이 지구 그림자에 최대로 가려지는 ‘최대식’ 시각은 18시 2분 54초인데, 이때 달의 고도가 약 7.8도로 높지 않기 때문에 동쪽 지평선 근처 시야가 트여 있는 곳에서 맨눈으로 관측이 가능하다.

달이 지구 그림자에 들어간다고 전혀 안 보이게 되는 것은 아니다. 지구 대기를 통과한 태양 빛이 굴절되며 그 중 파장이 긴 붉은빛이 달에 닿게 되고, 이 빛에 의해 달이 검붉게 보이게 된다. 이때 쌍안경으로 관측하면 지구 그림자에 가려진 달의 환상적인 모습을 즐길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다음 월식은 약 1년 뒤인 2022년 11월 8일로, 달이 지구의 본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는 개기월식의 장관이 펼쳐진다.

이광식 칼럼니스트 joand999@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 / 3
닫기
광고삭제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