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메타버스 서울’ 혈세 60억원 날렸다
김민석 기자
수정 2024-04-18 00:08
입력 2024-04-18 00:08
日 평균 사용자 수백명 ‘성적 부진’
오세훈 야심 사업 사실상 실패로
405억짜리 20개 과제 중 절반 철회
“세계 최초 포장 말고 내실 챙겨야”
지난해 1월 오세훈 서울시장이 “서울의 신대륙을 만들겠다”며 야심차게 문을 연 메타버스 서울 프로젝트가 사실상 실패한 것으로 확인됐다. 사용자가 하루 평균 수백명 선에 그치는 등 파리만 날리고 있어서다. 이에 당초 2026년까지 405억원을 투입하려던 기본 계획의 절반이 철회됐다. 이미 투입된 약 60억원의 혈세는 허공으로 날아갔다.
이날 서울시에 따르면 메타버스 서울 기본 계획의 3단계에 포함된 모든 사업이 취소됐다. 20개 과제 중 ‘서울핀테크랩 플레이그라운드’, ‘서울런 청소년드림센터’ 등 11개를 제외한 나머지도 추진이 철회됐다.
시 관계자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비대면 시기에 메타버스 환경에서 공공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 메타버스 서울을 구축했지만 지난해 서비스 시작 직후 엔데믹이 발표됐다”면서 “대면 활동이 많아져 해당 사업을 2026년까지 계획대로 할 필요가 없어졌다”고 설명했다.
시가 집계하지 않는 메타버스 서울의 MAU를 서울신문이 데이터·광고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에 의뢰한 결과 ‘기준치 미달로 데이터 확인이 불가능하다’는 답변이 돌아왔다. 아이지에이웍스 관계자는 “하루 활성 이용자가 500명 미만인 앱은 데이터 분석이 불가능하다. 메타버스 서울 하루 이용자는 수백명 선에 그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내 메타버스 앱 중 가장 활성화된 네이버의 ‘제페토’는 MAU가 2000만명 안팎이다.
시는 지난달까지 메타버스 서울을 통해 ▲120상담 395건 ▲세금 관련 민원 71건 ▲서류 발급 321건 등이 이뤄졌다고 밝혔다. 이를 전부 더하면 하루 평균 업무 처리 건수는 1.78건에 불과하다.
시는 일단 시청을 직접 방문하지 못하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메타버스 서울상에서 재난 체험이나 키오스크 주문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다만 계획이 대폭 축소된 만큼 메타버스 서울 관련 조직도 변경될 가능성이 높다. 또 다른 시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업무에 변동이 없어 개편 계획은 없다”며 “추후 업무가 변동되고 기능이 축소될 경우 개편할 수 있다”고 말했다.
메타버스 시장은 코로나19 팬데믹을 타고 급성장했다가 거품처럼 꺼졌다. 인천 등 다른 지방자치단체들도 수백억원 규모의 메타버스 프로젝트를 계획했지만 제대로 문을 연 곳은 거의 없다. 한 ICT업계 관계자는 “15개월간 누적 방문자가 35만여명이라면 사실상 플랫폼에서 행사를 열 때를 제외하면 방문자가 없었다는 것”이라며 “지자체들은 ‘세계 최초’ 등으로 포장만 할 게 아니라 콘텐츠 등 내실 쌓기에 집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민석 기자
2024-04-18 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