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통신] 오릭스의 2012 ‘신 황금시대’

송혜민 기자
수정 2012-01-13 10:17
입력 2012-01-13 00:00
이미지 확대
일본프로야구 오릭스 버팔로스가 지난해에 이어 또다시 ‘新(신)황금시대’를 모토로 2012 시즌을 시작한다.

지난해 오릭스는 새로 영입한 이승엽(삼성)과 박찬호(한화)를 앞세워 황금시대를 선언했지만 올해는 이대호(30)를 앞세워 ‘신 황금시대’라는 캐치프레이즈를 설정했다.

올 시즌 오릭스의 캐치프레이즈는 말붙이기 좋아하는 일본의 특성이라고는 하지만 어딘가 모르게 비장함이 숨겨져 있다. 지난해 아깝게 A클래스(포스트시즌)진출에 실패했던 오릭스는 그동안 인식돼 있던 약체팀이란 이미지를 벗어내기에 충분했다. 시즌 초반은 꼴찌로 시작했지만 니혼햄과 함께 막판까지 치열한 3위싸움을 했을 정도로 예년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줬기 때문이다.

오릭스의 황금시대는 과거 화려했던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를 일컫는다.

1950년 지금의 양대리그 체제로 바뀐 후 오릭스가 처음 리그 우승을 차지한 것은 니시모토 유키오 감독시절인 1967년이다. 그리고 1969년까지 3년연속 리그 우승을 차지한 오릭스는 1970년대 들어 리그 우승 5회 그리고 일본시리즈 우승을 3연패(1975-1977)하며 황금시대를 열었다. 시기으로만 따진다면 12년동안 9번의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퍼시픽리그의 맹주로서 위용을 과시하기도 했다.

이 당시 오릭스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선수들의 면면을 보면 3년연속 퍼시픽리그 MVP를 차지했던 에이스 야마다 히사시(64)를 비롯해 요네다 테츠야, 카지모토 타카오, 이시이 시게오와 같은 막강한 투수들이 중심이었다. 또한 중심타선에는 가토 히데지 그리고 일본프로야구 역사상 가장 위대한 1번타자로 손꼽히는 후쿠모토 유타카(65)가 한큐 브레이브스(오릭스 전신)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특히 후쿠모토는 1970년부터 1982년까지 13년연속 도루왕과 더불어 아직도 불멸의 기록으로 남아 있는 일본프로야구 한 시즌 최다도루 기록인 106개(1972년)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뿐만 아니라 14년연속 50도루 이상을, 그리고 개인 통산 1,065개 도루숫자는 당시까지만 해도 ‘세계 신기록’이였을만큼 세기의 도루왕이었다.

그러나 오릭스가 강팀의 명맥을 유지한 것은 우에다 토시하루 감독의 1,2차 집권(1974-1978, 1981-1990) 시절이 마지막이었다. 물론 오기 아키라가 지휘봉을 잡은 후 스즈키 이치로(현 시애틀)를 앞세워 2년연속(1995-1996) 리그 우승을 차지하긴 했지만 그 이후 지금까지 단 한번도 우승을 차지한 적이 없다.

특히 2000년대 들어 지난해까지 꼴찌만 5차례, 그리고 이 기간동안 포스트시즌에 진출한 해는 단 한번(2008)에 불과할 정도로 만년하위권 팀이란 이미지가 강한 팀이었다.

지난해 오릭스는 투타 모두에서 선수보강을 알뜰히 하며 포스트시즌 진출을 노렸지만 막판 뒷심부족으로 또다시 B클래스로 떨어지고 말았다. 작년 이맘때 오릭스가 선택한 캐치프레이즈도 ‘신 황금시대’였다.

2년연속 같은 캐치프레이즈를 선택한 오릭스의 마음가짐과 올 시즌에 임하는 오릭스의 자세가 어느정도인지를 알수가 있다. 그 중심에는 분명 이대호 영입에 따른 기대치가 숨겨져 있다.

오카다 아키노부(54) 감독은 ‘다른 외국인 선수는 믿지 못하지만 이대호는 걱정이 없다’ 라고 할정도로

이대호에 대한 절대적인 신임을 보이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지난해 지바 롯데에서 뛰었던 호세 카스티요를 비롯해 백차승, 그리고 아직 끝나지 않은 선수보강에 있어서도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그만큼 투자를 하겠다는 뜻이다.

이처럼 오릭스가 올 시즌 자신만만해 하고 있는 것은 퍼시픽리그에 소속된 각팀 에이스급 투수들의 이적도 한몫을 차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미 소프트뱅크는 3명의 정상급 투수(스기우치, 와다, 홀튼)를 내보냈고 아직 메이저리그 진출이 확정되진 않았지만 다르빗슈 유(니혼햄)도 올 시즌 맞상대 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라쿠텐의 이와쿠마 히사시(시애틀)는 이미 빅리그 진출을 확정지었다.

지난해 오릭스는 3위 니혼햄과 치열한 접전을 벌였지만 승률 단 7모 차이로 포스트시즌 티켓을 넘겨준 바 있다. 야구에서 만약은 없지만 만약 오릭스의 에이스인 카네코 치히로가 시즌 초반부터 1군에서 뛰었다면 3위 이상의 성적은 충분했을거란 전문가들의 진단도 새겨들을 필요가 있다.

그만큼 올 시즌 오릭스의 전력은 근래 들어 가장 좋다.

오릭스의 ‘신 황금시대’는 과거의 영광을 재현하겠다는 의미다. 최근 몇년간 퍼시픽리그는 소프트뱅크의 독주속에 강팀이라 불릴만한 팀이 없었다. 내년시즌 전력 약화가 불가피한 소프트뱅크, 그리고 다르빗슈의 메이저리그 진출 유무에 따라 팀 색깔이 변화할 니혼햄 등과 같은 팀들의 전력약화로 오릭스가 강팀으로 뛰어오를만한 여건은 충분해졌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일본야구통신원 윤석구 http://hitting.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