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한 12세 소녀 “가족 먹여 살리려 결혼했죠”…난민의 처참한 현실[핫이슈]

송현서 기자
송현서 기자
수정 2024-11-26 19:53
입력 2024-11-26 19:41
이미지 확대
말레이시아 페낭에 있는 이동 진료소에서 진료 중인 의사와 환자. 출처=국경없는 의사회
말레이시아 페낭에 있는 이동 진료소에서 진료 중인 의사와 환자. 출처=국경없는 의사회


자국의 탄압을 피해 타국으로 떠나 난민이 된 뒤 생계를 위해 조혼을 선택할 수 밖에 없는 10대 초반 소녀들의 안타까운 사연이 알려졌다.

23일(이하 현지시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미얀마의 로힝야족 10대 소녀들은 무슬림 소수민족을 표적으로 삼는 잔혹한 군사 탄압을 피해 방글레시아로 피난을 떠났지만, 생계를 위해 말레이시아서 강제로 결혼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불교 신자가 다수인 미얀마에서 이슬람교 계열의 소수민족인 로힝야족은 오랫동안 박해를 받아왔다. 특히 2010년대 후반에는 로힝야족 약 100만 명이 군부 정권의 잔혹한 탄압을 피해 방글라데시 등 인근 국가로 몸을 피했다.

고향을 떠나 난민이 된 이들은 방글라데시의 난민캠프에서 생활했지만, 난민캠프의 환경도 열악하기는 마찬가지다. 안전을 보장할 수 없고, 먹고 살만한 일자리를 구하기도 쉽지 않다.

결국 난민캠프에서 살던 로힝야족 소녀들의 선택은 조혼이었다. 말레이시아에 자리잡은 로힝야족 남성들은 어린 소녀와 결혼하는 조건으로 방글라데시에 남아있는 ‘어린 신부’의 가족에게 재정적 지원이나 결혼지참금 등을 제공한다.

이 때문에 로힝야족 10대 소녀들 사이에서 미얀마를 탈출해 방글라데시 난민캠프로 들어왔다가 말레이시아로 떠나 조혼을 하는 것은 더 이상 드문 일이 아니다.

일부 부모들은 어린 딸이 결혼을 해서라도 열악하고 위험한 방글라데시 난민캠프에서 멀리 떨어진 말레이시아로 가는 것이 훨씬 안전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많은 로힝야족 10대 소녀들은 결혼을 하러 말레이시아로 가는 과정에서 인신매매업자에 의해 또는 말레이시아에 도착한 뒤 남편에 의해 신체적‧성적 폭력을 당할 위험에 노출돼 있다.

말레이시아 페낭에 있는 국경없는 의사회(MSF) 소속 병원에서 일하는 닐루파는 SCMP에 “지난해 11~12월 이후 임신한 로힝야족 10대 소녀들이 늘어났다. 임신한 12~13세 소녀들은 자신에게 어떤일이 일어났는지 잘 알지 못한다”고 말했다.

이어 “소녀들에게 왜 그렇게 어린 아니에 결혼하느냐고 물었더니, 모두 ‘선택의 여지가 없다’고 답했다”면서 “말레이시아에 도착한 로힝야족 소녀와 여성은 대부분 불법체류자이고, 이들은 체포의 두려움 속에서 어쩔 수 없이 집에 갇혀 살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로힝야족 소녀와 여성을 살리는 ‘나비 기호’말레이시아 국립대학과 말레이시아 과학대학이 지난해 11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많은 로힝야족 여성들은 생존을 위해 배우자에게 의존하는 삶을 살고 있다. 이런 환경에서 아동 결혼과 임신, 폭력 등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현재 말레이시아 페낭에 있는 국경없는 의사회 소속 병원은 신체적 또는 성적 폭력의 피해를 입은 로힝야족 여성을 위한 의료 지원을 제공한다.

이미지 확대
말레이시아 페낭에 있는 이동 진료소에서 진료를 기다리는 사람들. 출처=국경없는 의사회
말레이시아 페낭에 있는 이동 진료소에서 진료를 기다리는 사람들. 출처=국경없는 의사회


현지 의료진은 배우자에게 의존할 수밖에 없는 로힝야족 소녀와 여성들이 자신의 피해사실을 알릴 경우 배우자에 의해 쫓겨나거나 가족에게 해가 갈 것을 두려워한다는 사실을 익히 알고 있다.

의료진이 이런 로힝야족 여성들을 지원하기 위해 만든 것이 바로 ‘나비 기호’다.

병원 건물 내 곳곳에는 나비 문양의 카드들이 붙어 있다. 피해를 입은 여성이 은밀하게 나비 문양을 가리키면, 의료진은 이 여성이 구조를 요청하고 있다고 해석하고 필요한 도움을 주기 위해 접근한다.

또 로힝야족 난민들에게 임신 초기의 위험과 위협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며, 이 역시 폭력에 노출돼 있는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해 이동 진료소에서 ‘비공식적인’ 과정을 통해 진행된다.

페낭 난민 네트워크의 자원봉사자이자 로힝야 난민 출신인 아부는 SCMP에 “아동 조혼은 우리 지역 사회에서 매우 큰 문제이므로 이를 줄일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이러한 활동은 적어도 이곳 말레이시아에 있는 우리 국민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송현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